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황산고총(荒山古塚)[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황폐한 산 위의 오래 된 무덤들.
황산고총(荒山古塚)[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황폐한 산 위의 오래 된 무덤들.
황산곡(黃山谷)[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황정견(黃庭堅)이 황곡사(黃谷寺) 석우간(石牛澗)에 노닐면서 그 곳 천 석을 사랑하여 스스로 산곡도인(山谷道人)이라 한 데서 연유한 것임. 황정견(黃庭堅) : 중국 북송(北宋)의 시인.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원조이며, 서도가로도 뛰어남. 천성적으로 문장이 출중하여 천하 4학사의 한 사람으로 칭송되고, 소식(蘇軾)의 문하에 유학하여 세상에서는 그의 시재를 기리어 ‘소황(蘇黃)’이라고도 호칭하였음.
황산곡(黃山谷)[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계곡의 이름. 중국의 문인 황정견(黃庭堅)을 일컬음.
황산곡(黃山谷)[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계곡의 이름. 중국의 문인 황정견(黃庭堅)을 일컬음.
황산곡리 당춘절(黃山谷裏當春節)[춘분유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황산곡(黃山谷)은 송나라 시인 黃庭堅의 아호를 지명처럼 사용.
황산촌[팔역가(八域歌) 43 페이지 / 전적]
익산시 망성면 소재
황상(皇上)[근농가(勤農歌) 6 페이지 / 전적]
현재 살아서 나라를 다스리고 있는 황제(皇帝)를 이르는 말.
황상(皇上)[경세가(警世歌) 2 페이지 / 전적]
현재 살아서 나라를 다스리고 있는 황제(皇帝)를 이르는 말.
황상녹의(黃裳綠衣)[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의(衣)는 위에 입는 상의, 상(裳)은 아래에 입는 치마, 황색은 정색(正色)이어서 존귀하고, 녹색은 간색(間色)이라 천한 것을 가리키는데 정색인 황(黃)이 아래로 가야 될 치마로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본처가 밀려나고 첩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
황상녹의(黃裳綠衣)[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의(衣)는 위에 입는 상의, 상(裳)은 아래에 입는 치마, 황색은 정색(正色)이어서 존귀하고, 녹색은 간색(間色)이라 천한 것을 가리키는데 정색인 황(黃)이 아래로 가야 될 치마로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본처가 밀려나고 첩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
황생[여자행신가 12 페이지 / 전적]
환생(還生)임. 다시 살아남. 죽은 사람이 다시 태어남. 불교에서, 열반계로부터 부활함. 또는 그런 일. 실대승의 뜻에 의하면, 일단 무여열반에 들어갔으나 아직 업이 다하지 않은 이는 몇 겁이 지난 뒤에 다시 태어나 대승(大乘)의 보리심을 발하며 성불한다고 함.
황생[여자행신가 12 페이지 / 전적]
환생(還生)임. 다시 살아남. 죽은 사람이 다시 태어남. 불교에서, 열반계로부터 부활함. 또는 그런 일. 실대승의 뜻에 의하면, 일단 무여열반에 들어갔으나 아직 업이 다하지 않은 이는 몇 겁이 지난 뒤에 다시 태어나 대승(大乘)의 보리심을 발하며 성불한다고 함.
황생(黃生)[송강집(松江集四)4 41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진번(陳蕃)이 황숙도(黃叔度)를 三일만 안보다도 비루한 생각이 난다고 했다.
황석(黃石)[석천집(石川集二-三)2-3 110 페이지 / 전적]
신인(神人) 황석공(黃石公). 진(秦)나라 은사(隱士)로 장량(張良)이 하비(下邳)에서 만난 이상노인(圯上老人). 장량으로 하여금 다리밑에 떨어진 신발을 줍게 하고 책 하나를 주면서, 이 책을 읽으면 왕사(王師)가 될 수 있으며, 13년 후에 곡성산(穀城山) 아래서 황석(黃石)을 보게 될 텐데, 그것이 곧 자기라고 했다. 장량은 그 책을 읽고 태공병법(太公兵法)을 익혀 마침내 한고조(漢高祖)를 도와 천하를 평정했다. 그 신인의 말대로 장량은 13년 후에
황석공(黃石公)[거창가 8 페이지 / 전적]
진나라가 말기 이상(圯上)에서 장량(張良)에게 병서를 주었다고 전해지는 노인.
황석공(黃石公)[거창가 8 페이지 / 전적]
진나라가 말기 이상(圯上)에서 장량(張良)에게 병서를 주었다고 전해지는 노인.
황석공(黃石公)[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중국 진나라 말엽의 은사(隱士)ㆍ병법가(兵法家)로 장양(張良)에게 병서(兵書)를 전해주었다는 노인으로, 장양은 이 병서를 읽고 한나라 고조의 천하평정을 도왔다고 한다.
황석공(黃石公)[창덕가2 83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 나라 말의 은사(隱士)•병법가(兵法家).장양(張良)에게 병서(兵書)를 전해 주었다는 노인으로, 장양은 이 병서를 읽고서 한나라 고조의 천하 통일을 도왔다고 함.
황석공(黃石公)[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진(秦)나라 말기에 이상(圯上)에서 장량(張良)에게 병서를 주었다고 하는 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