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난위수(難爲水) 난위언(難爲言)[유소가 4 페이지 / 전적]

바다를 본 적이 있는 사람은 물을 말하기 어렵고, 성인의 공부를 한 사람은 학문에 대해 말하기 어렵다.

난육(卵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淑慝」― 淑은 善이요 慝은 惡임. 書經畢命에「旌別淑慝」이란 대문이 있음.

난으실을[복션화음록 10 페이지 / 전적]

길게 늘인 실을. ‘난’은 명주나 무명 따위를 낳기 위하여 새수에 맞추어 그 실을 길게 늘이다.

난의사(亂衣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누더기처럼 어지러운 모양의 사(砂).

난의사(亂衣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누더기처럼 어지러운 모양의 사(砂).

난의사(亂衣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누더기처럼 어지러운 모양의 사(砂).

난의포식(暖衣飽食) 자경비(自輕肥)[화전가1 3 페이지 / 전적]

자식에겐 따뜻하게 입히고 배불리 먹이고, 자신은 허름한 옷에 아무것이나 먹음.

난의포식(暖衣飽食) 자경비(自輕肥)[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자식에겐 따뜻하게 입히고 배불리 먹이고, 자신은 허름한 옷에 아무것이나 먹음.

난의포식(煖衣飽食)[부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난입(亂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1 페이지 / 전적]

어지럽게 함부로 들어감.

난장(亂場)[시절가 3 페이지 / 전적]

난장판(여러 사람이 어지러이 뒤섞여 떠들어 대거나 뒤엉켜 뒤죽박죽이 된 곳).

난장(亂杖)[소상팔경가 10 페이지 / 전적]

곤장의 한 가지.

난장(亂杖)[자치가 11 페이지 / 전적]

곤장의 한 가지.

난장(亂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3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형벌(刑罰)의 하나. 장형(杖刑)을 할 때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마구 치는 매. 21대 영조(英祖) 46(1770)년에 폐지(廢止)되었음.

난장차의문동풍(難將此意問東風)[한양가라 21 페이지 / 전적]

난장차의문동풍(難將此意問東風)

난정(蘭亭)[화전가1 5 페이지 / 전적]

중국 절강성 소흥현 서남쪽이 있음. 진목제(晉穆帝)의 영화(永和)9년 3월 3일에 당시 명사 41명이 이곳에 모여 곡수(曲水)에 잔을 띄워 계연(?宴)을 베풀고 시를 지었음.

난정(蘭亭)[화전가2 5 페이지 / 전적]

중국 절강성 소흥현 서남쪽이 있음. 진목제(晉穆帝)의 영화(永和)9년 3월 3일에 당시 명사 41명이 이곳에 모여 곡수(曲水)에 잔을 띄워 계연(?宴)을 베풀고 시를 지었음.

난정(蘭亭)[냥신낙사가(냥신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절강성에 있는 정자. 서성(書聖) 왕희지 등 명사 43명이 모여 주연을 베풀었을 때의 시집(詩集)에 왕희지의 명필(名筆)로 서문(序文)을 붙인 것이 난정기(蘭亭記)임.

난정(蘭亭)[냥신낙사가(냥신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절강성에 있는 정자. 서성(書聖) 왕희지 등 명사 43명이 모여 주연을 베풀었을 때의 시집(詩集)에 왕희지의 명필(名筆)로 서문(序文)을 붙인 것이 난정기(蘭亭記)임.

난정(蘭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4 페이지 / 전적]

「蘭旌」― 他人의 行旌에 대한 美稱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