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날러는[ 1 페이지 / ]

나는.

날아들어[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갑자기 들어.

날으니 용이 월굴에 다다르니[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4 페이지 / 전적]

소강절(邵康節)의 시에 ‘건(乾)이 손(巽)을 만나면 월굴을 본다.‘고 하였다. 단오는 5월 5일인데 5월은 건상손하 (乾上巽下)인 구괘 (姤卦)로서 음효(陰爻)가 처음 생기므로 월굴이라고 말한 것이다. 날으는 용이라고 한 것은 단오의 앞에 있는 4월이 순양월(純陽月)로서 건괘(乾卦)에 해당되어 용의 형상이 있기 때문 붙인 말이다.《周易總目》

날은엇디 기돗던고[ 1 페이지 / ]

해는 어찌 길기만 하는고.

날이거의[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8 페이지 / 전적]

거의 매일.

날효[계녀사라 5 페이지 / 전적]

‘생효[生孝]’를 이르는 듯함.

날미도[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날쌔기도. 남쌤도. ‘날사다’는 ‘날쌔다’ 이고. ‘날미’는 ‘날삼이’이다.

낡은 벽에는 용사비등하던[석천집(石川集二-二)2-2 16 페이지 / 전적]

원문의 용사(龍蛇)는 용사비등(龍蛇飛騰)의 준말인데, 용이 날아오르는 것같이 활기찬 붓솜씨를 뜻한다.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5 페이지 / 전적]

「人一己百」- 中庸에 「남이 한번으로 能히 한다면 나는 백번으로 할 생각을 한다」(人一能之 己百之)라 하였음.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6 페이지 / 전적]

「十能千」-中庸에 『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라 하였음.

남 사랑하고 존경함[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1 페이지 / 전적]

애인경인(愛人敬人)을 이름.

남(南)[그리져리구경하고 12 페이지 / 전적]

남〔他〕의 차자(借字)식 표기.

남(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9 페이지 / 전적]

「南相」- 南袞을 말한 것임.

남(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0 페이지 / 전적]

「圖南」-莊子逍遙遊의 南冥鵬을 말한 것임. 見上.

남(南)을 오니[대동가(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으로 오니.

남가(南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9 페이지 / 전적]

「南柯」―南柯一夢의 畧稱임. 唐李公佐의 南柯記에「淳子棼이廣陵에 사는데 집 남쪽에 古槐가 있어 枝幹이 修永했다.

남가(南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1 페이지 / 전적]

「南柯夢」-槐安國에 대한 故事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남가일몽(南柯一夢)[흥남세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 영화

남가일몽(南柯一夢)[옥셜화답 4 페이지 / 전적]

남쪽 가지에서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꿈이나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남가일몽(南柯一夢)[소년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쪽 가지에서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꿈이나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