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남녀미관계자(男女未冠筓者)[사친가(事親歌) 32 페이지 / 전적]

남녀로써 아직 관 쓰지 않고 비녀 꽂지 않은 자.

남녀부대(男女負戴)[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녀유별(男女有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남자와 여자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함.

남녀유별(男女有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남자와 여자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함.

남녀음분(男女淫奔)[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5 페이지 / 전적]

남녀 간에 바람을 피우다.

남녀음행(男女淫行)[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22 페이지 / 전적]

남녀 간에 음란한 행동.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대비훈민가 5 페이지 / 전적]

유교(儒敎)의 도덕(道德)에서, 일곱 살이 되면 자리를 따로 할 만큼 남녀(男女)의 구별(區別)을 엄격(嚴格)하게 한 일.

남녕(南寧)[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현재 광서장족자치구로 진(晋)대(256~420년)에는 이미 현이 설치되었으며 당(唐)대 이후는 동남아시아 각지와의 교역의 중계점으로써 번영한 지역.

남녕(南寧)[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현재 광서장족자치구로 진(晋)대(256~420년)에는 이미 현이 설치되었으며 당(唐)대 이후는 동남아시아 각지와의 교역의 중계점으로써 번영한 지역.

남녕(南寧)[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현재 광서장족자치구로 진(晋)대(256~420년)에는 이미 현이 설치되었으며 당(唐)대 이후는 동남아시아 각지와의 교역의 중계점으로써 번영한 지역.

남노여비(男奴女婢)[사친가2(思親歌(二)) 15 페이지 / 전적]

남녀 노비. 사내종과 여자 종.

남노여비(男奴女婢)[사친가2(思親歌(二)) 17 페이지 / 전적]

남녀 노비. 사내종과 여자 종.

남노여비(男奴女婢)[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6 페이지 / 전적]

남녀 노비.

남노여비(男奴女婢)[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사내종과 계집종.

남노여비(男奴女婢)[경노의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노비, 여자노비.

남노여비(男奴女婢)[나부가라(라부가라) 5 페이지 / 전적]

사내종과 계집종.

남대문(南大門)[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숭례문’의 다른 이름. 서울 도성(都城)의 남쪽 정문이라는 뜻임.

남대문(南大門)[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숭례문’의 다른 이름. 서울 도성(都城)의 남쪽 정문이라는 뜻임.

남도포진(南桃浦鎭)[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4 페이지 / 전적]

지금의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에 있었다. 현재도 성곽(城郭)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

남들은 나더러 임처사라[석천집(石川集二-二)2-2 137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시인 임포(林逋)를 가리킨다. 절강성 고산에 숨어 살면서 끝내 벼슬하지 않고, 매화와 학을 사랑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