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가일몽(南柯一夢)[무제(고하매) 1 페이지 / 두루마리]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남가일몽(南柯一夢)[만수가(만슈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함.
남가일몽(南柯一夢)[소년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쪽 가지에서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꿈이나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이르는 말
남가일몽(南柯一夢)[만수가(만슈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함.
남가일몽(南柯一夢)[무제(고하매) 1 페이지 / 두루마리]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남가일몽(南柯一夢)[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1 페이지 / 전적]
남쪽 가지에서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꿈이나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이르는 말.
남가일몽(南柯一夢)[두껍전이라(겁젼이라) 4 페이지 / 전적]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남가일몽(南柯一夢)[연행별곡(연별곡) 11 페이지 / 전적]
남쪽 가지에서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꿈이나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이르는 말.
남가일몽(南柯一夢)[죽엽가(쥭엽가) 4 페이지 / 전적]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남가일몽(南柯一夢)[인일가라 3 페이지 / 전적]
꿈과 같이 헛된 한 때의 부귀영화.
남가지상 일장춘몽(南柯之上 一場春夢)[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함. 봄날의 꿈처럼 헛되이 지나가는 인생을 빗대어 이르는 말.
남가치(南歌峙)[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3 페이지 / 전적]
남쪽산맥의 북고혈(北鼓穴).
남거지가[앤여가(여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나머지가. 남은 음식이.
남겨두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2 페이지 / 전적]
「憖遺」- 憖은 自强의 뜻임. 詩經 十月之交에 「不憖遺一老 俾守我王」이란 句가 있음.
남경(南京)은 응천부(應天府)요 북경(北京)은 순천부(順天府)라[옥설가 44 페이지 / 전적]
응천(應天)과 순천(順天)은 하늘 또는 천명을 따르고 좇는다는 뜻으로, 중국의 남경과 북경의 옛 이름이 응천부와 순천부였다.
남경(南境)[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남극(南極)
남경북경(南京北京)[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도시 이름.
남경여직(男耕女織)[팔도안희가 14 페이지 / 전적]
남자는 소를 몰아 농사를 짓고, 여자는 베를 짜는 것을 말한다.
남고사(南高寺)[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전주에 있는 절 이름.
남곤(南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문신. 호조 ·병조 ·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주청사(奏請使)로 중국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기묘사화를 꾸며 신진사류(新進士類)를 숙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