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무량(無量)[회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정도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음.
무량(無量)[금강산유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정도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음.
무량겁(無量劫)[권왕가 4 페이지 / 전적]
영겁(永劫). 헤아릴 수 없는 긴 시간. 또는 끝이 없는 시간.
무량겁(無量劫)[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5 참조.
무량겁(無量劫)[권왕가 25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5 참조.
무량고(無量苦)[권왕가 4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는 많은 괴로움.
무량불사(無量不死)[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도록 사시라는 뜻.
무량수불(無量壽佛)[이회심곡(二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을 달리 이르는 말로 수명이 한없는 부처를 말함.
무량지복(無量之福)[명륜가(明倫歌) 33 페이지 / 전적]
끝없는 복.
무량복[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무량대복(無量大福). 한없이 큰 복.
무러바서[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물어봐서.
무려(無慮)[후원초당 봄이듯이 10 페이지 / 두루마리]
그 수가 예상보다 상당히 많음을 나타내는 말.
무력(武力)[삼강오륜가 서 3 페이지 / 전적]
병력(兵力). 군사상의 힘. 또는 마구 욱대기는 힘.
무렴(無廉)[여행록이라(여녹이라) 7 페이지 / 전적]
염치가 없음을 느껴 마음이 부끄럽고 거북함.
무렴(無廉)[아림가(娥林歌) 33 페이지 / 전적]
① 염치가 없음. ② 염치가 없음을 느껴 마음이 부끄럽고 거북함.
무령(巫鈴)[벽천가 27 페이지 / 전적]
무당이 쓰는 도구의 하나로 무당이 점칠 때나 굿을 할 때에 손에 들고 춤추는 방울. 여기서는 신통하다는 뜻.
무령왕(武寧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백제 제25대 왕(462~523). 이름은 사마(斯摩/斯痲)ㆍ융(隆). 24대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양나라와 친교를 맺으며 국내 안정에 힘쓰는 한편, 쌍현성(雙峴城)을 쌓아 외침에 대비하였다.
무령현(撫寧縣)[연행별곡(연별곡) 18 페이지 / 전적]
한(漢)의 여성현(驪成縣) 땅.금(金) 태종말(太宗末)에 무령현(撫寧縣)을 둠.
무례(無禮)[한양가라 34 페이지 / 전적]
말과 행동에 예의가 없음.
무로(無路)[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길(방법)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