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무도(無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나서 막됨.

무도병귀(無道病鬼)[얼씨고나 7 페이지 / 전적]

도가 없는 곳에 병의 마귀가 돎.

무도병귀(無道病鬼)[얼씨고나 7 페이지 / 전적]

도가 없는 곳에 병의 마귀가 돎.

무도병귀(無道病鬼)[얼씨고나 7 페이지 / 전적]

도가 없는 곳에 병의 마귀가 돎.

무도병귀(無道病鬼)[얼씨고나 7 페이지 / 전적]

도가 없는 곳에 병의 마귀가 돎.

무도병귀(無道病鬼)[합셩가라 1 페이지 / 전적]

도가 없는 곳에 병의 마귀가 돎.

무도세상(無道世上)[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3 페이지 / 전적]

도(道)가 없는 세상.

무도자(無道者)[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막된 사람.

무도자(無道者)[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막된 사람.

무도[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도(無道)한. 도리를 알지 못하고 막됨.

무동(舞童)[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춤추는 어린아이.

무동(舞童)[김씨효행가 2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궁중의 잔치 때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던 아이. 농악대ㆍ걸립패 따위에서, 상쇠의 목말을 타고 춤추고 재주 부리던 아이. 북청 사자놀음에 등장하는 인물의 하나. 둘째 마당인 사자놀이의 첫째 거리에 나오며 탈은 쓰지 않음.

무되록[ 1 페이지 / ]

날카롭지 않게 무디어지도록. 닳아서 무디게 되도록.

무등산(無等山)[유소가 5 페이지 / 전적]

광주광역시와 화순군ㆍ담양군 사이에 있는 산.

무등지인(無等之人)[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1 페이지 / 전적]

어리석은 사람.

무람녀(無藍女)[사미인곡 5 페이지 / 전적]

누더기 옷을 입을 여자, 곧 신분이 낮은 여자를 이름.

무량 쾌락(無量快樂)[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쾌락. 쾌락(快樂) : 삶이 유쾌하고 기쁘고 즐거운 상태.

무량(無量)[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는 것.

무량(無量)[권왕가 30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는 것.

무량(無量)[권왕가 41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8 참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