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염(殮)[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6 페이지 / 전적]

시신을 수의로 갈아입힌 다음, 베나 이불 따위로 싸는 일.

염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1 페이지 / 전적]

「濂溪草」― 太極圖를 倡作한 周濂溪가 庭前의 풀을 除去하지않은 그 故事를 말한 것임 見上

염계(溓溪)[황남별곡(黃南別曲) 7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에 있는 강이름으로 주돈이가 살았다고 함.

염계(濂溪)[ 1 페이지 / ]

호남성 도현道縣에 있는 시내로서 북송 때의 대학자 주돈이周敦頤가 살았던 곳. 주돈이는[애련설 愛蓮設]에서 연蓮을 군자君子의 덕에 비겨 칭송했다.

염계(濂溪)[성산별곡 6 페이지 / 전적]

송나라의 도학자 주돈이(周敦頤)의 호. <애련설(愛蓮設)>이라는 유명한 글을 씀.

염계(濂溪)[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주돈이(周敦頤)의 호.

염계(濂溪)[궁장가(宮墻歌) 10 페이지 / 전적]

태극도설을 주장한 주돈이(周敦頤)를 말한다.

염계(濂溪)[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湖南省)에 있는 시내. 일찍이 송(宋)나라의 주돈이(周敦頤)가 살았던 곳. 이곳 표제의 ‘濂溪’는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에 ‘廉溪’로 되어 있음. 주돈이(周敦頤) :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자는 무숙(茂叔), 호는 염계(濂溪). 당대 (唐代)의 경전 주석(經典註釋)의 경향에서 벗어나 도교와 불교의 철리를 응용한 유교 철학을 창시하여 송학(宋學)의 아버지로 일컬어짐.

염계(濂溪)[권션지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호남성 염계에 살았던 북송의 유학자 주돈이(周敦頤)의 호.

염계(濂溪)[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주돈이(周敦頣)가 여기에 살았으므로 염계선생(濂溪先生)이라 하였음

염계(濂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濂溪」- 周敦頣의 號인데 太極圖說을 지었음。

염계(濂溪)[숙덕부인도덕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송학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북송의 대 유학자. 태극도설(太極圖說)을 저술함.

염계(濂溪)[석천집(石川集二-五)2-5 132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北宋)의 대유(大儒)인 주돈이(周敦頤)의 호. 연(蓮)을 사랑한다는 뜻으로 지은 그의 <애련설(愛蓮說)>은 명문(名文)으로 알려져 있다.

염계(濂溪)[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송 때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頥)를 가리킴.

염계(濂溪)[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송 때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頥)를 가리킴.

염계(濂溪)[붕우츠회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염계의 주염계(周濂溪)와 낙양의 이정(二程)을 가리킴. 주염계는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자 무숙(茂叔). 호 염계(濂溪). 도주(道州 : 湖南省 道營縣) 출생. ‘염계선생’이라 부름.

염계(濂溪)[도덕구가 4 페이지 / 전적]

염계의 주염계(周濂溪)와 낙양의 이정(二程)을 가리킴. 주염계는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자 무숙(茂叔). 호 염계(濂溪). 도주(道州 : 湖南省 道營縣) 출생. ‘염계선생’이라 부름.

염계(濂溪)[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시대 때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頤)의 호.

염계(濂溪)[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시대 때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頤)의 호.

염계옹[팔역가(八域歌) 54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소옹의 잘못, 시호는 강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