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염서(艶書)[환행가 30 페이지 / 두루마리]

남녀 간에 애정을 담아 써서 보내는 편지.

염서(艶書)[환행가 30 페이지 / 두루마리]

남녀 간에 애정을 담아 써서 보내는 편지.

염셕문[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6 페이지 / 전적]

염석문(簾席門). 각 고을 관아의 안채 바깥문.

염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4 페이지 / 전적]

「亡羊」-莊子 騈拇에 『臧과 穀 두 사람이 서로 더불어 염소를 치는데 모두 그 염소를 잃었다. 臧더러「무슨 일을 하다가 잃었느냐」물으니 「箂을 끼고 讀書했다」하고 穀더러 「무슨 일을 하다가 잃었는냐」물으니 博塞하고 놀았다」는 것이다. 이 두 사람이 한 일은 비록 같지 않지만 그 염소를 잃어버린 것은 마찬가지이다』라 하였다. 이는 대개 當爲의 業에 專心하지 아니하면 그 業을 반드시 잃게 된다는 비유임.

염소 가죽옷 자릉이 입으리라[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50 페이지 / 전적]

엄자릉 (嚴子陵)처럼 숨는다는 뜻.《後漢書 嚴光傳》에 ‘황제가 어려서 엄광과 함께 배웠으므로 황제가 되매 물색 (物色)으로 찾으니 얼마 후 제국 (齊國) 땅에 어느 남자가 염소 가죽옷을 입고 못가에서 낚시한다고 아뢰는 사람이 있었다.‘ 하였다

염송(念誦)[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염불 송경(念佛誦經). 마음속으로 부처를 생각하고 불경을 외는 것.

염습(殮襲)[초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殮襲)[초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殮襲)[한흥가라 44 페이지 / 전적]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殮襲)[한흥가라 44 페이지 / 전적]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殮襲)[한흥가라 44 페이지 / 전적]

시신을 씻긴 뒤 수의를 갈아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殮襲)[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3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긴 뒤에 옷을 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殮襲)[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7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몸을 씻긴 뒤에 옷을 입히고 염포로 묶는 일.

염습등물(殮襲等物)[한양가라 43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을 묶는 베, 천 등 여러 사물들.

염습제구(殮襲諸具)[명륜가(明倫歌) 28 페이지 / 전적]

장례 때 사용되는 여러 도구. 원문에는 ‘殮’이 ‘?’으로 되어 있음.

염심낙처(念尋樂處)[화전가1 10 페이지 / 전적]

안자가 가난함 속에서도 즐겼던 그 도를 찾아 나설 것을 생각한다.

염심낙처(念尋樂處)[화전가2 10 페이지 / 전적]

안자가 가난함 속에서도 즐겼던 그 도를 찾아 나설 것을 생각한다.

염양[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염량(炎凉). 원래는 추위와 더위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사려와 분별의 의미이다.

염연(恬然)[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욕심이 없이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염열炎熱[ 1 페이지 / ]

몹시 심한 더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