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염염 미타(念念彌陀)[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을 외우고 외우는 것. 미타(彌陀) :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준말. 앞에 든 각주 161 참조.
염염(冉冉)[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55 페이지 / 전적]
세월이 가는 것.
염염(冉冉)히[혼행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천천히 조금씩.
염염(念念)[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생각하다.
염염불망(念念不忘)[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늘 생각하여 잊지 않음.
염염불망(念念不忘)[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늘 생각하여 잊지 않음.
염왕(閻王)[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5 페이지 / 전적]
염라대왕.
염왕(閻王)[연행별곡(연별곡) 15 페이지 / 전적]
염라대왕.
염왕불파(閻王不怕) 패금어(珮金魚)[금강산유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대왕은 금어(金魚)도 겁을 내지 않음.
염우(冉牛)[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공문 십철(孔門十哲)에는 염유(冉有), 또는 염백우(冉伯牛)가 있는데 이는 그중 한 사람의 오기로 판단된다.
염우(冉牛)[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염우(冉牛)[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염유(?有)[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자(字)는 자유(子有).
염유(?有)[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자(字)는 자유(子有).
염유(冉有)[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염유(冉有)[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염구(冉求). 중국 춘추 시대의 노나라 사람(?~?). 자는 자유(子有). 염유(冉有)라고도 한다.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다.
염일(念日)[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스무 날.
염장군(廉將軍)[백발가 5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조(趙)의 혜문왕 때 인상여(藺相如)와 함께 큰 공을 세운 인물.
염전(斂錢)[두껍전이라(겁젼이라) 3 페이지 / 전적]
모은 돈
염전(斂錢)[죽엽가(쥭엽가) 3 페이지 / 전적]
모은 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