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염량변태[무제(▩▩▩▩) 18 페이지 / 두루마리]

염량세태(炎凉世態)와 같은 말로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염량변태[무제(▩▩▩▩) 18 페이지 / 두루마리]

염량세태(炎凉世態)와 같은 말로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염량세태(炎凉世態)[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염량세태(炎凉世態)[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염려(念慮)[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앞일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마음을 써서 걱정함.

염매(鹽梅)[송강집(松江集六)6 19 페이지 / 전적]

알맞게 간을 맞춤. 전(轉)하여 신하가 임금을 도와 올바르게 정사를 하게 함. 書經 說命篇에「若作和羹爾作鹽梅」

염매(鹽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 페이지 / 전적]

「鹽梅」- 君臣間의 契遇를 말함.書經設命에『若作和羹 爾惟鹽梅』라 하였음.

염문(濂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6 페이지 / 전적]

周濂溪의 門을 이름.

염문(廉問)[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몰래 물어봄.

염백[팔역가(八域歌) 51 페이지 / 전적]

성현에 있는 영안성, 강충이 영안촌의 여자를 처로 삼았고, 강충의 손자 작제건이 당나라에 가다가 용녀 를 만나 결혼하고, 용녀가 고려 세조를 낳았다. 세조는 꿈에 나타난 여자와 결혼하여 고려 태조를 낳았는데 그녀는 나중에 위숙왕후가 된다. 노규호, 앞의 책, 292면

염백우(冉伯牛)[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경(耕), 자(字)는 백우(伯牛).

염백우(冉伯牛)[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경(耕), 자(字)는 백우(伯牛).

염백우(冉伯牛)[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때 사람으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덕행의 선비로 이름났다.

염백우(冉伯牛)[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때 사람으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덕행의 선비로 이름났다.

염불 공덕(念佛功德)[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열심히 염불하여 이루는 공과 불도를 닦는 덕.

염불 법문(念佛法文)[권왕가 44 페이지 / 전적]

염불하는 법문. 법문(法文) : 불견의 글. 봉권(奉勸) : 받들어 권함.

염불 법문(念佛法文)[권왕가 45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522 참조.

염불 삼매(念佛三昧)[권왕가 9 페이지 / 전적]

염불에 의하여 잡념을 없애고 부처의 진리를 보게 되는 경지.

염불 삼매(念佛三昧)[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94 참조.

염불 삼매(念佛三昧) 삼매(三昧)[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염불에 의하여 잡념을 없애고 부처의 진리를 보게 되는 경지. 잡념을 떠나서 한 가지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시키는 경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