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오제성덕(五帝聖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다섯 황제의 거룩한 덕.

오제지덕(五帝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다섯 분 황제(五帝)의 덕. 오제(五帝)에 대해서도 다양한 설이 있으나 <개명공산가>에서는 ‘소호 금천ㆍ전욱 고양ㆍ제곡 고신ㆍ제요 도당ㆍ제순 유우’를 오제로 봄.

오제지덕(五帝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다섯 분 황제(五帝)의 덕. 오제(五帝)에 대해서도 다양한 설이 있으나 <개명공산가>에서는 ‘소호 금천ㆍ전욱 고양ㆍ제곡 고신ㆍ제요 도당ㆍ제순 유우’를 오제로 봄.

오제치산(五帝治産)[해몽가라(몽가라) 5 페이지 / 전적]

오제, 즉 다섯 임금의 나라 돌봄과 다스림.

오제후(五諸侯)[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겨울의 별자리인 정수에 속하는 별자리. 하늘나라 임금을 보좌하는 다섯 인물에 해당하는 오제후 별자리는 남의 잘못을 살펴 다가올지 모르는 환난을 경계하는 일을 담당한다. 음양을 다스리거나 득실을 따지는 것도 살피며, 황제의 마음을 주관한다고도 보았다. 정수북관문 별자리인 북하의 아래에 위치한다. 첫 번째 별은 임금의 스승인 제사(帝師), 임금의 친구인 제우(帝友), 삼정승인 삼공(三公), 박사(博士), 태사(太史)로 보았다. 이 다섯 별은 언제나 임금의

오젼미[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오전채미(五前菜味). 다섯 가지 식사 전에 먹는 채소의 맛.

오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6 페이지 / 전적]

일찍 익는 조.

오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9 페이지 / 전적]

일찍 익는 조.

오조(烏鳥)[별한가 28 페이지 / 전적]

까마귀.

오조보호(烏鳥保護)[삼한가라(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까마귀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줘 보호함. 반포(反哺).

오주(吾主)[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우리 주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오주(吾主)[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우리 주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오주명월(吳州明月)[냥신낙사가(냥신낙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오나라 땅 밝은 달.

오주명월(吳州明月)[냥신낙사가(냥신낙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오나라 땅 밝은 달.

오주이별[한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백이 남릉에 있는 집에 와서 쉬다가 아이들과 작별하고 장안으로 돌아가는 오주의 슬픈 이별. 반씨전(潘氏傳)에 이야기가 전함.

오줄한[쌍옥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오줄없는’의 상반된 의미. ‘오줄없는’은 "주책 없고 사리의 분별력이 없다"는 뜻으로 말할 때에 경상도에서 쓰는 말.

오지(五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02 페이지 / 전적]

선생의 「和止酒」詩에 보임. 本詩集에 나타나 있음.

오지(惡之)[광애가(廣愛歌) 7 페이지 / 전적]

미워함.

오지(惡之)[동과가(諌過歌) 1 페이지 / 전적]

미워함.

오지심(吾之心)[신절가(臣節歌) 6 페이지 / 전적]

나의 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