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음육률(五音六律)[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음악의 다섯 가지 소리와 여섯 가지 율(律).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음과 황종(黃鐘), 태주(太簇),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 무역(無射)의 육률을 이른다.
오음육률(五音六律)[화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음악의 다섯 가지 소리와 여섯 가지 율(律).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음과 황종(黃鐘), 태주(太簇),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 무역(無射)의 육률을 이른다.
오음육률(五音六律)[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중국 음악의 다섯 가지 소리와 여섯 가지 율(律).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음과 황종(黃鍾), 태주(太簇),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 무역(無射)의 육률을 이른다.
오음육률(五音六律)[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중국 음악의 다섯 가지 소리와 여섯 가지 율(律).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음과 황종(黃鍾), 태주(太簇),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 무역(無射)의 육률을 이른다.
오음육율(五音六律)[로인가 5 페이지 / 전적]
음악의 다섯 가지 소리와 여섯 가지 율(律). 즉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음과 황종(黃鍾), 태주(太簇),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 무역(無射)의 육률을 이름.
오읍(嗚泣)[녁대가(녁가) 55 페이지 / 전적]
목메어 욺.
오읍(於悒)[송강집(松江集二)2 185 페이지 / 전적]
번민하여 괴로워함. 史記 剌客傳에「大呼天者三卒於悒悲憤而死
오인육인(五仞六仞)[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다섯 길 여섯 길.
오인육인(五仞六仞)[흥비가 10 페이지 / 전적]
길이를 재는 단위. 다섯 길 여섯 길.
오일경조(五日京兆)[송강집(松江集二)2 199 페이지 / 전적]
관직에 오래 있지 않음을 이름. 漢書에「宣帝誅楊惲公卿奏京兆尹張敞 惲之黨友不宣處位…舜私歸家曰五日京兆耳安能復案事」
오일불식(五日不食)[축원하온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오일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음.
오입(誤入)[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아내가 아닌 여자와 성관계를 가지는 일.
오자낙서(誤字落書)[황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글자를 잘못 쓰거나 빠뜨리고 쓰는 일.
오자낙서(誤字落書)[태평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글자를 잘못 쓰거나 빠뜨리고 쓰는 일.
오자낙서(誤字落書)[후원초당 봄이듯이 8 페이지 / 두루마리]
잘못 쓴 글자와 장난으로 함부로 쓴 글.
오자등영(五子登榮)[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1 페이지 / 전적]
다섯 아들이 모두 영화로운 벼슬자리에 오른다.
오자반포(烏者反哺)[역대삼재가라 15 페이지 / 전적]
까마귀의 지극한 효성.
오자서(伍子胥)[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로 초나라 사람이었으나 아버지와 형이 살해당한 뒤 오나라를 섬겨 복수함. 오나라 왕 합려를 보좌하여 강대국으로 키웠으나, 합려의 아들 부차에게 중용되지 못하고 모함을 받아 자결함.
오자서(伍子胥)[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로 초나라 사람이었으나 아버지와 형이 살해당한 뒤 오나라를 섬겨 복수함. 오나라 왕 합려를 보좌하여 강대국으로 키웠으나, 합려의 아들 부차에게 중용되지 못하고 모함을 받아 자결함.
오자서(伍子胥)[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로 초나라 사람이었으나 아버지와 형이 살해당한 뒤 오나라를 섬겨 복수함. 오나라 왕 합려를 보좌하여 강대국으로 키웠으나, 합려의 아들 부차에게 중용되지 못하고 모함을 받아 자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