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장(五臟)[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9 페이지 / 전적]
①다섯 가지 내장(內臟).간장(肝臟), 폐장(肺臟), 심장(心臟), 비장(脾臟), 신장(腎臟)②속을 이루는 다섯 가지 내장(內臟)이라는 뜻으로 '마음보'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③내장(內臟)을 통틀어 일컫는 말.곧, 오장과 육부.오장육부(五臟六腑).
오장(五臟)[연행별곡(연별곡) 19 페이지 / 전적]
①다섯 가지 내장(內臟).간장(肝臟), 폐장(肺臟), 심장(心臟), 비장(脾臟), 신장(腎臟)②속을 이루는 다섯 가지 내장(內臟)이라는 뜻으로 '마음보'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③내장(內臟)을 통틀어 일컫는 말.곧, 오장과 육부.오장육부(五臟六腑).
오장경(吳長慶)[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6 페이지 / 전적]
중국 청나라의 장군(1833~1884). 임오군란 때 민씨(閔氏) 일파의 요청으로 병력을 이끌고 서울에 진주하여 대원군을 청나라로 압송하였으며, 민씨 정권의 배후를 뒷받침하여 주다가 이듬해 철수하였다.
오장군(吳將軍)[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4 페이지 / 전적]
명 나라 오유충
오장왕(烏藏王)[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왕샌전(往生傳)』에 나오는 오장국(五長國)의 왕인 듯. 오장왕은 염불한 뒤 죽어서 극락세계로 갔다 함. (임기중 편저『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② 461쪽, 2005년 참조.) 흥종 황제(興宗皇帝) : 중국 요(遼)나라의 제7대 황제.
오장원(五丈原)[역대가라(역가라) 9 페이지 / 전적]
협서성(陜西省) 미현(?縣)과 기산현(岐山縣) 접경지역으로 제갈량이 전사한 곳이다.
오장원(五丈原)[잣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운명한 곳.
오장원(五丈原)[잣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운명한 곳.
오장원(五丈原)[자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운명한 곳.
오장원(五丈原)[소상팔경가 8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이 운명한 곳.
오장원(五丈原)[자치가 10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이 운명한 곳.
오장원(五丈原)[녁대가(녁가) 49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의 유명한 싸움터. 234년 촉한(蜀漢)의 제갈량(諸葛亮
오장육부(五臟六腑)[벽천가 21 페이지 / 전적]
오장과 육부라는 뜻으로 내장을 통틀어 하는 말.
오전(五典)[송강집(松江集三)3 127 페이지 / 전적]
오상(五常)과 같음. 書經 舜典篇에「愼微五典 五典克從」
오전(五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36 페이지 / 전적]
「五典五禮」- 五典은 五倫을 말한 것이요, 五禮는 吉, 凶, 軍, 賓, 嘉의 五禮를 말한 것임.書經 臯陶謨에 「天叙五典 天秩五禮」의 대문이 있음.
오정(五情)[시절가 22 페이지 / 전적]
사람이 가진 다섯 가지 감정. 기쁨, 노여움, 슬픔, 욕심, 증오를 이름.
오정(五鼎)[석천집(石川集二-五)2-5 125 페이지 / 전적]
오정식(五鼎食)을 말함. 옛날 대부의 제사에는 다섯 솥의 고기를 바쳤으므로 영진(榮進)의 뜻으로 씀.
오정시(午丁時)[경화가(警和歌) 10 페이지 / 전적]
병오정미(丙午丁未)의 때를 말함.
오정시(午丁時)[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오시(午時)와 정시(丁時). 오시는 오전 열한 시부터 오후 한 시까지이고, 정시는 오후 열두 시 반부터 한 시 반까지임.
오정시(午丁時)[경화가(警和歌) 10 페이지 / 전적]
병오정미(丙午丁未)의 때를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