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남만격설(南蠻鴃舌)[무제(▩▩▩▩) 20 페이지 / 두루마리]

남방의 미개한 민족의 말은 때까치의 소리와 같다는 뜻으로 함부로 지껄여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 사람의 말을 낮잡아 이르는 말.

남만국(南蠻國)[ 1 페이지 / ]

남쪽 야만국.

남만국(南蠻國)[자경별곡(自警別曲) 4 페이지 / 전적]

남쪽 야만국.

남만북적(南蠻北狄)[자경별곡 7 페이지 / 전적]

남쪽과 북쪽의 오랑캐. 가사의 원문에서는 “南蠻北賊”으로 되었으나, 그곳의 ‘賊’은 ‘狄’의 오기이다.

남만이나[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만큼이나.

남매 숙질(男妹叔姪)[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오누이, 그리고 아저씨와 조카.

남명선생(南冥先生)[옥산가라 4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학자인 조식(曹植). 철저한 절제로 일관하여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으며, 당시의 사회현실과 정치적 모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비판의 자세를 견지함. 단계적이고 실천적인 학문방법을 주장하였으며 제자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져 경상우도의 특징적인 학풍을 이룸.

남명수(南溟水)[베틀가라 2 페이지 / 전적]

남쪽에 있다고 하는 큰 바다를 말한다.

남명자(南冥子)[석천집(石川集二-四)2-4 108 페이지 / 전적]

未詳

남무(南畝)[ 1 페이지 / ]

남쪽 밭. 밭은 남향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농사짓는 밭을 이름.

남무(南畝)[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9 페이지 / 전적]

남쪽 밭. 밭은 남향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농사짓는 밭을 이름.

남무집 언에와[복션화음록 17 페이지 / 전적]

남의 집 아내와.

남문전[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남훈전(南薰殿)인 듯. 원래는 당(唐)나라의 궁전 이름이나, 여기서는 순(舜)의 시가(詩歌)인 <남풍(南風)>의 유추로, 순임금이 살던 궁전의 이름으로 쓰인 듯함.

남문전[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남훈전(南薰殿)인 듯. 원래는 당(唐)나라의 궁전 이름이나, 여기서는 순(舜)의 시가(詩歌)인 <남풍(南風)>의 유추로, 순임금이 살던 궁전의 이름으로 쓰인 듯함.

남반[ 1 페이지 / ]

南畔. 남쪽의 밭둑. 남쪽 땅.

남방병정(南方丙丁)[몽즁운동가 8 페이지 / 전적]

10간에서 병과 정은 화(火)이며, 남방에 속함.

남법행동(濫法行動)[명륜가(明倫歌) 51 페이지 / 전적]

법률을 남용하는 행동.

남변위녀(男變爲女)[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남자가 여자로 변하다.

남별궁(南別宮)[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태종 때 경정공주(慶貞公主)의 남편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에게 이 땅을 준 뒤부터 속칭 ‘소공주댁(小公主宅)’이라고 하였는데, 선조 때 의안군(義安君) 성(城)의 신궁이 되면서 남별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남별궁(南別宮)[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태종 때 경정공주(慶貞公主)의 남편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에게 이 땅을 준 뒤부터 속칭 ‘소공주댁(小公主宅)’이라고 하였는데, 선조 때 의안군(義安君) 성(城)의 신궁이 되면서 남별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