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남정(男丁)[대비훈민가 4 페이지 / 전적]

열다섯 살이 넘은 사내, 젊은 남자(男子).

남정(男丁)[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열다섯 살이 넘은 사내. 남정네.

남정(男丁)[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열다섯 살이 넘은 사내.

남정북벌(南征北伐)[가사소리 8 페이지 / 전적]

남쪽을 정복하고 북쪽을 토벌함.

남제운(南霽雲)[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뇌만춘과 남제운은 당 현종 때 안녹산의 난이 일어났을 때 물러나지 않았던 장수.

남제운(南霽雲)[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뇌만춘과 남제운은 당 현종 때 안녹산의 난이 일어났을 때 물러나지 않았던 장수.

남제운(南霽雲)[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뇌만춘과 남제운은 당 현종 때 안녹산의 난이 일어났을 때 물러나지 않았던 장수.

남졍강[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정강함. ‘남정강’은 강 이름이고, ‘함(檻)’은 ‘난간’․‘정자’라는 말이다.

남조선배[용화출세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사고 격암유록에 나오는 예언. 지구의 생명체를 구할 수 있는 승지. 선천 역사의 총결론이 남조선뱃길이다. 남조선 배에 五성인과 일만이천 도통군자가 타고 선천역사를 마감하고 후천 오만년을 열어간다.

남존여비(男尊女卑)[메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男子)는 높고 귀(貴)하게 여기고, 여자(女子)는 낮고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남자를 여자(女子)보다 존중(尊重)하는 일.

남존여비(男尊女卑)[메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男子)는 높고 귀(貴)하게 여기고, 여자(女子)는 낮고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남자를 여자(女子)보다 존중(尊重)하는 일.

남종삼(南鍾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천주교인(1817~1866). 자는 증오(曾五). 호는 연파(煙波)ㆍ중재(重齋). 세례명은 요한. 천주교를 공인받으려 하다가 이선이(李先伊)의 고발로 프랑스 선교사 아홉 명과 함께 피살되었는데, 이것이 병인양요의 계기가 되었다.

남주(南州)[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남쪽 고을.

남주(南州)[합강정가(合江亭歌) 2 페이지 / 전적]

남쪽 고을.

남주북병(南酒北餠)[별교사(별교)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촌은 술맛이 좋고 북촌은 떡맛이 좋다 하여 이르던 말.

남주북병(南酒北餠)[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서울의 남촌은 술 맛이 좋고 북촌은 떡 맛이 좋다 하여 이르던 말.

남주북[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주북병(南酒北餠). 남산 밑에서 술을 빚고, 북촌에으로 가서 떡을 잘 만든다는 뜻으로 능력이 뛰어남을 뜻함.

남주작(南朱雀)[지리산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풍수지리에서, 주산의 남쪽에 있다는 뜻으로 ‘주작’을 이르는 말.

남중일색(男中一色)[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생김. 또는 그러한 사람.

남중일색(男中一色)[팔도가 18 페이지 / 전적]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잘생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