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양(南陽)[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제갈공명이 밭을 갈며 지냈던 곳으로 위기에 빠진 유비가 찾아와 삼고(三顧)의 예를 갖추었던 곳이다.
남양(南陽)[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제갈공명이 밭을 갈며 지냈던 곳으로 위기에 빠진 유비가 찾아와 삼고(三顧)의 예를 갖추었던 곳이다.
남양(南陽)[녁대가(녁가) 47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을 세운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가 태어난 곳.
남양(南陽)문선(文善)[심심가(尋心歌) 30 페이지 / 전적]
각각 경상남도 사천군에 속한 면(面).
남양(南陽)문선(文善)[심심가(尋心歌) 30 페이지 / 전적]
각각 경상남도 사천군에 속한 면(面).
남양처사(南陽處士)[초당춘수곡 8 페이지 / 전적]
남쪽 지방의 초야에 묻혀 벼슬을 하지 않고 사는 선비. 여기서는 작가 자신을 일컬음.
남에문지[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먼지. 남의 허물.
남여(藍輿)[면앙정가(俛仰亭歌) 6 페이지 / 전적]
뚜껑이 없는 가마.
남여(藍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藍輿」―堂上官이 타는 가마를 말한 것임.
남연년[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의령인, 조선 후기 무신
남염부주(南閻浮州)[권왕가 39 페이지 / 전적]
남염부제(南閻浮提). 염부제(閻浮提). 염부나무가 우거진 땅이라는 뜻으로, 수미산(須彌山)의 남쪽 해상에 있다는 대륙. 인간이 사는 세계를 말함.
남염부주(南閻浮州)[권왕가 51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472 참조
남우경(男優景)[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 배우의 형상.
남우세스럽다[시골여자서련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만하다.
남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龍城」―現在 南原郡의 古號임.
남원[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미상
남원(南原)[팔도안희가 8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원시를 말한다.
남원(南原)[육자박이 6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全羅北道)의 한 시.남원 분지(盆地)의 중심지(中心地).
남원(南原)[육자박이 6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全羅北道)의 한 시.남원 분지(盆地)의 중심지(中心地).
남원(南原)[육자박이 6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全羅北道)의 한 시.남원 분지(盆地)의 중심지(中心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