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별궁(南別宮)[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태종 때 경정공주(慶貞公主)의 남편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에게 이 땅을 준 뒤부터 속칭 ‘소공주댁(小公主宅)’이라고 하였는데, 선조 때 의안군(義安君) 성(城)의 신궁이 되면서 남별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남별궁(南別宮)[한양가라 8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의 별궁으로 현재 서울 중구 소공동에 자리했으며 터만 남아 있다.
남병산(南屛山)[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병영[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북청이 있던 남도 병영
남복(男服)[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가 입도록 만든 옷.
남복(男服)[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7 페이지 / 전적]
남자의 옷.여자가 남자의 옷을 갈아 입음.
남복(男服)[북쳔가 31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의 옷.
남본다시[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을 보듯이. 남과 같이.
남봉남식(濫捧濫食)[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정해진 수량보다 더 많이 받아들이거나, 가리지 않고 함부로 먹음.
남부여대[흥남세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는 것을 이르는 말. 부러워라 부러워라 남부여대
남부여대[은삭가 5 페이지 / 전적]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인다는 뜻. 즉,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 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부여대[은삭가 5 페이지 / 전적]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인다는 뜻. 즉,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 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부여대(男負女戴)[궁월가라 7 페이지 / 전적]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북[녁대가(녁가) 54 페이지 / 전적]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중국 역사상의 시대구분의 하나(420~589).진(晉)나라와 수(隋)나라 중간시대에 해당하며, 이 동안 중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어 각각 왕조가 교체해서 흥망하였음.
남북조(南北朝)[송강집(松江集三)3 88 페이지 / 전적]
남조(南朝)는 송제양진(宋齊梁陳), 북조(北朝)는 후위(後魏),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조(隋朝)등을 가리킴.
남북촌(南北村)[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8 페이지 / 전적]
남촌(南村)과 북촌北村)
남북촌(南北村)[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촌과 북촌. 남북의 여러 마을.
남분(濫分)[명륜가(明倫歌) 28 페이지 / 전적]
분수에 넘침.
남분처사(濫分處事)[명륜가(明倫歌) 36 페이지 / 전적]
분수에 넘치는 일처리.
남비(攬轡)[송강집(松江集二)2 107 페이지 / 전적]
後漢書 范滂傳에「登車攬轡慨然有澄淸天下之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