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자는 내입(內入)하여[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남자가 내실에 들어가서.
남자는 내입(內入)하여[거취가(去取歌) 1 페이지 / 전적]
남자가 내실에 들어가서.
남자와 여자가 서로 짝짓는[삼강오륜가 서 6 페이지 / 전적]
남녀상배(男女相配).
남자현(南慈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9 페이지 / 전적]
여성 독립운동가(1872~1933). 3ㆍ1 운동 때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과 여성 계몽에 힘썼다. 1933년 일본군 장교를 살해하려다 체포되어, 옥중에서 항쟁하던 중 병보석으로 출감한 뒤 객사하였다.
남잔녀과(男殘女寡)[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4 페이지 / 전적]
남자는 홀아비가 되고 여자는 과부가 된다는 말.
남재(南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2 페이지 / 전적]
조선의 개국 공신(1351~ 1419)으로 자는 경지(敬之), 호는 귀정(龜亭)이다. 태조 5년(1396)에 도병마사로 대마도를 정벌하였으며 우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이색의 문인으로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에 밝았으며, 산수(算數)에도 능하였다. 저서에
남재기[시절가 12 페이지 / 전적]
나머지의 사투리.
남전(南田)[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남쪽의 밭.
남전(南田)[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남쪽의 밭.
남전(藍田) 여씨 향약(呂氏鄕約)[ 1 페이지 / ]
중국 서안시(西安市)의 남동에 설치되었던 진(秦)나라 때의 고을 이름. 중국 송(宋)나라 때, 여대균(呂大鈞)의 향리인 남전에서 실시한 자치적인 규약. 조선시대 후기에 실시된 우리나라 향약의 모범이 되었음.
남전(藍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1 페이지 / 전적]
「藍田」― 縣名인데 中國 陝西省에 屬함. 唐나라 文章家 韓愈가「藍田縣丞廳壁記」를 지은 것이 있는데, 이 詩는 그 記를 引用하여 오히려 藍田보다 여기가 더 조용하다는 뜻을 말한 것임. 記의 대략에「庭有老槐四行 南墻鉅竹千挺 嚴立若相持 水㶁㶁循除鳴 斯立痛掃漑 對樹二松 日哦其間 有問者 輒對曰余方有公事 子姑去」라 하였음.
남전(藍田) 여씨 향약(呂氏鄕約)[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100 페이지 / 전적]
중국 서안시(西安市)의 남동에 설치되었던 진(秦)나라 때의 고을 이름.중국 송(宋)나라 때, 여대균(呂大鈞)의 향리인 남전에서 실시한 자치적인 규약. 조선시대 후기에 실시된 우리나라 향약의 모범이 되었음.
남전(藍田), 여씨 향약(呂氏鄕約)[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3 페이지 / 전적]
중국 서안시(西安市)의 남동에 설치되었던 진(秦)나라 때의 고을 이름, 중국 송(宋)나라 때, 여대균(呂大鈞)의 향리인 남전에서 실시한 자치적인 규약. 조선시대 후기에 실시된 우리나라 향약의 모범이 되었음.
남전북답(南田北畓)[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남전북답(南田北畓)[초한가라 10 페이지 / 전적]
남쪽 밭과 북쪽 논.
남전북답(南田北畓)[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남전북답(南田北畓)[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남전북답(南田北畓)[경노의심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
남전藍田[ 1 페이지 / ]
아송남전哦松藍田의 고사를 지칭. 중국 당나라의 최사립이 남전에서 삶의 감회를 노래했다는 고사에서 연유하였음. 남전은 또 아름다운 옥이나는 곳으로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유명한 산 이름임. 이로 인해 용모가 아름다움을 일러 남전출옥藍田出玉이라 하고, 명문의 집에서 어진 자제가 나옴을 칭송하여 남전생옥 藍田生玉이라 함.
남정(男丁)[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장정이 된 남자. 남정네. 곧 작중 화자의 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