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도적(盜賊)[합강정가(合江亭歌) 7 페이지 / 전적]
도둑.
도적(盜賊)할 길 바이없고,[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찌할 도리나 방법이 전혀 없다.
도적같이 무도한들 교자시즉(敎子時則) 선의(善意)로다[명륜가(明倫歌) 26 페이지 / 전적]
도적같이 도리를 알지 못하더라도 자식 가르칠 때는 곧 뜻을 선하게 한다.
도적업(盜賊業)[권왕가 27 페이지 / 전적]
도적질. 도둑질. 남의 물건을 몰래 훔치는 것을 일삼는 것.
도정절[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83 페이지 / 전적]
정절은 도연명(陶淵明)의 시호.
도정절선생(陶靖節先生)[매창월가(梅牕月歌) 2 페이지 / 전적]
도정절선생(陶靖節先生)은 진(晋)나라 도연명(陶淵明) 곧 도잠(陶潛)의 별칭이다.
도제가(道諸家)[녁대가(녁가) 48 페이지 / 전적]
도가(道家). 중국 선진(先秦) 시대 제자백가의 하나. 노자와 장자의 허무, 염담(恬淡), 무위(無爲)의 설을 받든 학파로, 만물의 근원으로서의 자연을 숭배하였음.
도존춘추(道存春秋)[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도가 춘추시대에 존재한 것.
도종(道宗)[오륜가라 33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무장. 645년에 당 태종의 고구려 침입 때 요동도 행군 총관(遼東道行軍摠管)으로 전쟁에 참가하여 개모성과 요동성을 함락하였으나 안시성에서 대패하였다.
도주(陶朱)[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도주공(陶朱公).범여(范蠡)의 다른 이름.중국 춘추 시대 월나라의 재상(?~?).자는 소백(少伯).회계(會稽)에서 패한 구천(句踐)을 도와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멸망시키고 후에 산둥(山東)의 도(陶)에 가서 도주공(陶朱公)이라고 자칭하고 큰 부(富)를 쌓았다.
도주(陶朱)[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도주공(陶朱公). 범여(范蠡)의 다른 이름. 중국 춘추 시대 월나라의 재상(?~?). 자는 소백(少伯). 회계(會稽)에서 패한 구천(句踐)을 도와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멸망시키고 후에 산둥(山東)의 도(陶)에 가서 도주공(陶朱公)이라고 자칭하고 큰 부(富)를 쌓았다.
도주(陶朱)의돈(猗頓)[거창가 12 페이지 / 전적]
도주(陶朱)는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신하 범려(范蠡)의 변명(變名). 축재 (蓄財)의 재주가 있어 19년 동안 세 차례 천금(千金)의 치부를 하였음. 의돈(猗頓) 춘추시대 노국 (魯國)의 대 부호.
도주(陶朱)의돈(猗頓)[거창가 12 페이지 / 전적]
도주(陶朱)는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신하 범려(范蠡)의 변명(變名). 축재 (蓄財)의 재주가 있어 19년 동안 세 차례 천금(千金)의 치부를 하였음. 의돈(猗頓) 춘추시대 노국 (魯國)의 대 부호.
도주공(陶朱公)[녁대가(녁가)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정치가 ‘범려(范蠡)’를 가리킴. 범려는 월나라 왕 구천을 섬겨 오나라를 멸망시킨 공신이었는데 대업이 달성된 뒤에는 월나라를 떠나 도현(陶縣)으로 가서 스스로 도주공(陶朱公)이라 칭하고, 장사로 다시 거만(巨萬)의 재산을 모았다고 전해짐.
도죽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4 페이지 / 전적]
「桃竹杖」―詩聖 杜甫는 章留後에게 贈한 桃竹杖引이 있는데 선생의 이 漆杖詩는 句法과 步調가 같으면서 뜻만 반대로 바꾸었음.
도지 병작[효부가 22 페이지 / 전적]
소작인이 지주에게 일정한 소작료를 내고 빌어서 경작하는 논밭이나 집터 등이 도지(賭地)다. 그러므로 도지병작(賭地竝作)은 소작료와 배메기 농사를 일컫는 말이다.
도지(桃枝)[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나무가지.
도지(賭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일정한 도조를 주고 빌려 쓰는 논밭이나 집터.
도지(賭地)[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일정한 대가를 주고 빌려 쓰는 논밭이나 집터.
도지(賭地)[김씨효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일정한 대가를 주고 빌려 쓰는 논밭이나 집터. 조선 후기에, 도지권의 대가로 생산물의 25~33%를 소작료로 물던 정액제 소작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