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독립만세(獨立萬歲)[합셩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의 독립(獨立)을 위해 만세(萬歲)를 부름.
독립만세(獨立萬歲)[합셩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의 독립(獨立)을 위해 만세(萬歲)를 부름.
독목교(獨木橋)[성산별곡 10 페이지 / 전적]
외나무다리.
독벌과 전갈들이 경오년[석천집(石川集二-二)2-2 117 페이지 / 전적]
중종 5년(1510)인데, 이해 4월에 부산지방 삼포(三浦)에 거주하던 왜인들이 쓰시마 영주가 파견한 해적들과 합세해서 반란을 일으켰다. 삼포왜변이라고 부른다.
독봉(督捧)[심심가(尋心歌) 29 페이지 / 전적]
조세 또는 빌려 준 돈이나 물건을 독촉하여 거두어들임.
독봉(督捧)[심심가(尋心歌) 29 페이지 / 전적]
조세 또는 빌려 준 돈이나 물건을 독촉하여 거두어들임.
독부(獨夫)[백발가(白髮歌) 7 페이지 / 전적]
인심을 잃어 도움을 받을 곳이 없는 외로운 남자.
독불장군(獨不將軍)[메물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혼자서는 장군(將軍)을 못한다는 뜻으로, ①남의 의견(意見)을 무시(無視)하고 혼자 모든 일을 처리(處理)하는 사람의 비유(比喩) ②혼자서는 다 잘할 수 없으므로 남과 협조(協助)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말 ③저 혼자 잘난 체하며 뽐내다가 남에게 핀잔을 받고 고립(孤立)된 처지(處地)에 있는 사람
독불장군(獨不將軍)[메물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혼자서는 장군(將軍)을 못한다는 뜻으로, ①남의 의견(意見)을 무시(無視)하고 혼자 모든 일을 처리(處理)하는 사람의 비유(比喩) ②혼자서는 다 잘할 수 없으므로 남과 협조(協助)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말 ③저 혼자 잘난 체하며 뽐내다가 남에게 핀잔을 받고 고립(孤立)된 처지(處地)에 있는 사람
독사지옥[착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의 감옥
독사지옥(毒蛇地獄)[일회심곡(一回心曲) 8 페이지 / 전적]
이빨에 사나운 독을 지닌 뱀이 가득찬 지옥.
독사지옥(毒蛇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죄 지은 사람에게 독사로 하여금 온몸을 칭칭 감게 하여 고통을 준다는 지옥. 역적 도모·살인·강도질 한 사람들이 가는 지옥.
독사지옥(毒蛇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죄 지은 사람에게 독사로 하여금 온몸을 칭칭 감게 하여 고통을 준다는 지옥. 역적 도모·살인·강도질 한 사람들이 가는 지옥.
독산(独山)[그리져리구경하고 13 페이지 / 전적]
독산(獨山). ‘独’은 ‘獨’의 속자.
독살(毒殺)[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악에 받치어 생긴 모질고 사나운 기운.
독살(毒煞)[해몽가라(몽가라) 8 페이지 / 전적]
성품이나 행동이 살기가 있고 악독한 데가 있음.
독서성(讀書聲)[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책 읽는 소리.
독서성(讀書聲)[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책 읽는 소리.
독서지일(讀書之日) 간간유(間間游)[화전가1 4 페이지 / 전적]
글을 읽고 간혹 놀기도 한다.
독서지일(讀書之日) 간간유(間間遊)[화전가2 4 페이지 / 전적]
글을 읽고 간혹 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