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지연원(道之淵源)[경화가(警和歌) 3 페이지 / 전적]

도(道)가 비롯된 근원. 유학에서 보면,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전한 심법(心法)이 ‘윤집궐중(允執厥中)’인데, 순임금은 여기에 ‘유정(惟精)’과 ‘유일(惟一)’을 추가하여 ‘유정유일 윤집궐중’을 우임금에게 전하였다. 이렇게 순임금이 다시 세 마디 말을 더 보탠 것은 요임금의 한 마디 말씀을 밝힌 것이니 이렇게 하니 ‘윤집궐중’의 뜻이 더욱 분명해졌다. 이와 같이 요임금에게서 비롯된 도학이 성인을 거쳐가며 보태어져 더욱 분명해 졌음.

도지연원(道之淵源)[경화가(警和歌) 3 페이지 / 전적]

도(道)가 비롯된 근원. 유학에서 보면,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전한 심법(心法)이 ‘윤집궐중(允執厥中)’인데, 순임금은 여기에 ‘유정(惟精)’과 ‘유일(惟一)’을 추가하여 ‘유정유일 윤집궐중’을 우임금에게 전하였다. 이렇게 순임금이 다시 세 마디 말을 더 보탠 것은 요임금의 한 마디 말씀을 밝힌 것이니 이렇게 하니 ‘윤집궐중’의 뜻이 더욱 분명해졌다. 이와 같이 요임금에게서 비롯된 도학이 성인을 거쳐가며 보태어져 더욱 분명해 졌음.

도지요요 기엽진진 지자우귀 의기가인[쳥츈상심곡(쳥츈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桃之夭夭 其葉蓁蓁 之子于歸 宜其家人(어리고 어린 복숭아여 그 잎도 무성하여라, 시집가는 저 처자여 화목하게 하여라)시경에 있음.대학 제가치국5.

도지요요(桃之夭夭)[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詩經)』「주남(周南) 도요(桃夭)」편의 ‘도지요요 작작기화(桃之夭夭 灼灼其華)’에서 나온 말. 봄에 복숭아 잎이 싱싱하게 피어 난 모습으로, 여자의 나이가 시집가기에 알맞은 아름다운 시절을 뜻함.

도지요요(桃之夭夭)[농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나무가 무성하게 잘 자람.

도지요요(桃之夭夭)[조심가라 32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주남(周南) 도요(桃夭)」편의 ‘도지요요 작작기화(桃之夭夭 灼灼其華)’에서 나온 말. 봄에 복숭아 잎이 싱싱하게 피어 난 모습으로, 여자의 나이가 시집가기에 알맞은 아름다운 시절을 듯함.

도지요요(桃之夭夭)[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詩經)』「주남(周南) 도요(桃夭)」편의 ‘도지요요 작작기화(桃之夭夭 灼灼其華)’에서 나온 말. 봄에 복숭아 잎이 싱싱하게 피어 난 모습으로, 여자의 나이가 시집가기에 알맞은 아름다운 시절을 뜻함.

도지요요(桃之夭夭)[농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나무가 무성하게 잘 자람.

도지요요(桃之夭夭)[조심가라 32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주남(周南) 도요(桃夭)」편의 ‘도지요요 작작기화(桃之夭夭 灼灼其華)’에서 나온 말. 봄에 복숭아 잎이 싱싱하게 피어 난 모습으로, 여자의 나이가 시집가기에 알맞은 아름다운 시절을 듯함.

도지요요(桃之夭夭)[망부가 3 페이지 / 전적]

복숭아 나뭇잎이 자라 무성함.곧 여자가 시집가는 것을 뜻함.『시경(詩經)』<주남(周南)>에 나오는 구절.

도지요요(桃之夭夭)[청춘사연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잘자란 복숭아 나무.『시경(詩經)』주남(周南)에 나오는 구절.

도지요요(桃之夭夭)[낙향이별가 4 페이지 / 전적]

작고 고운 복숭아를 이른다.

도지요요(桃枝遙遙)[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복사꽃 가지에 일어나는 아득한 기운.

도집국권(都執囯權)[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3 페이지 / 전적]

모든 나라의 권세를 다 잡음.

도집국권(都集國權)[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큰 권세를 홀로 차지한다는 의미인 듯.

도징군(陶徵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9 페이지 / 전적]

「陶徵君」―陶淵明을 말함

도처사(陶處士)[명륜가(明倫歌) 3 페이지 / 전적]

도연명(陶淵明)을 가리킴.

도척(盜?)[ 1 페이지 / ]

중국 춘추시대의 큰 도적. 악인을 비유하는 말로도 씀.

도척(盜?)[ 1 페이지 / ]

중국 춘추시대의 큰 도적. 악인(惡人)을 비유하기도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