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통(道統)[녁대가(녁가) 61 페이지 / 전적]

도학(道學)을 전하는 계통.

도통(道通)[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통함.

도통(道通)[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오묘(奧妙)한 이치(理致)를 깨달아서 통(通)함.

도통(道通)[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통함.

도통(道通)[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오묘(奧妙)한 이치(理致)를 깨달아서 통(通)함.

도통(道通)[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사물의 오묘한 이치를 깨달아서 통하다.

도통(道通)[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4 페이지 / 전적]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통하다.

도통(道通)[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6 페이지 / 전적]

사물(事物)의 오묘(奧妙)한 이치(理致)를 깨달아서 통(通)함.

도통연원(道統淵源)[역대삼재가라 5 페이지 / 전적]

도의 처음 시작되는 근원과 맥을 이어 내려가는 것.

도투마리[직금가라 7 페이지 / 전적]

베를 짜기 위해 날실을 감아 놓은 틀. 베틀 앞다리 너머의 채머리 위에 얹어 두고 날실을 풀어 가면서 베를 짠다.

도팽택[석천집(石川集二-二)2-2 83 페이지 / 전적]

도연명이 팽택령으로 80여일 동안 일했는데, 군에서 파견한 독우(督郵)에게 허리를 굽혀야 한다는 말을 듣고 그날로 인수(印綬)를 풀러 놓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때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지었다.

도편수(都片手)[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집을 지을 때 총책임을 지고 일을 지휘하는 우두머리 목수.

도편수(都片手)[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집을 지을 때 총책임을 지고 일을 지휘하는 우두머리 목수.

도포(道袍)[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을 댐.

도포(道袍)[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을 댐.

도포(道袍)[남자답가라(남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통상 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겉옷. 소매가 넓고 등 뒤에는 딴 폭을 댄다.

도포창의(道袍氅衣)[나부가라(라부가라) 8 페이지 / 전적]

평상시 예복으로 입던 겉옷.

도풍되고[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돛이 되고. ‘도풍’은 경상도 사투리로 ‘돛’이라는 말이다.

도하지(稻下止)[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4 페이지 / 전적]

하느님의 대를 잇는 아들인 정도령이 머무는 곳을 도하지라고 한다.

도학 이학(道學理學) 이학(理學)[ 1 페이지 / ]

유교 도덕에 관한 학문, 또는 성리학(性理學). 성리학의 준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