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학 이학(道學理學)[자경별곡 13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에 관한 학문, 또는 성리학(性理學). 이학(理學) : 성리학의 준말.

도학 이학(道學理學) 이학(理學)[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0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에 관한 학문, 또는 성리학(性理學). 성리학의 준말.

도학(道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도덕(道德)에 관(關)한 학문(學問). 유학(儒學), 특(特)히 송대(宋代)의 정주(程朱) 학파(學派)의 학(學). 곧, 심성(心性)ㆍ이기(理氣)의 학. 송학(宋學). 심학(心學)의 별칭(別稱).

도합(都合)[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9 페이지 / 전적]

모두 합한 셈.

도해진심(渡海眞心)[막소가(莫笑歌) 5 페이지 / 전적]

바다를 건넌 참된 마음.

도행(徒行)[환행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걸어서 감.

도행(徒行)[환행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걸어서 감.

도행(徒行)[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4 페이지 / 두루마리]

걸어서 감.

도행(徒行)[유덕가(幼德歌) 3 페이지 / 전적]

걸어서 감. 발로 걸어 다님. 산책이나 등산을 말함.

도향이요[셕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도향(都鄕)이요. 성(城) 안 구역과 성 바깥 구역. 마을과 이웃 마을.

도허(挑虛)[송강집(松江集一)1 79 페이지 / 전적]

도가(道家)의 수련(修練)을 이름.

도허(逃虛)[송강집(松江集二)2 51 페이지 / 전적]

도공(逃空)과 같은 뜻으로 공(空)의 세계로 도피해 간다는 뜻임.

도헌(都憲)[송강집(松江集六)6 46 페이지 / 전적]

대사헌(大司憲)

도호부(都護府)[환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ㆍ조선 시대에, 군(郡) 위에 둔 지방 관아.

도호부(都護府)[환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ㆍ조선 시대에, 군(郡) 위에 둔 지방 관아.

도홍경[석천집(石川集二-五)2-5 48 페이지 / 전적]

남북조(南北朝)시대의 본초가(本草家) 이다. 남제(南齊)의 고조 때 제왕(諸王)의 시독(侍讀)이 되었는데 구용구곡산(句容句曲山)에 숨어 스스로 화양도은거(華陽陶隱居)라 일컬은 사람. 저서에 학원(學苑)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 등이 있다.

도화(桃花)[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

도화(桃花)[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

도화(桃花)[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

도화(桃花)[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