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척(盜?)[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큰 도적. 악인을 비유하는 말로도 씀.

도척(盜?)[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7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큰 도적. 악인(惡人)을 비유하기도 함.

도척(盜跖)[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7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큰 도적. 악인(惡人)을 비유하기도 함.

도척(盜跖)[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8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도적. 흔히 악인(惡人)을 비유하는 말로 씀.

도척(盜跖)[명륜가(明倫歌) 87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의 큰 도적. 현인 유하혜(柳下惠)의 아우로, 수천 명을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였다고 함.

도척(盜跖)[론학가권지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의 큰 도적. 현인 유하혜(柳下惠)의 아우로, 수천 명을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였다고 함.

도척(盜跖)[론학가권지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의 큰 도적. 현인 유하혜(柳下惠)의 아우로, 수천 명을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였다고 함.

도척(盜跖)[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의 큰 도적(?~?). 현인 유하혜(柳下惠)의 아우로, 수천 명을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였다고 함. 몹시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쓰임.

도척(盜跖)[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큰 도적. 하는 짓이 몹시 모질고 악독한 사람을 뜻한다.

도척(盜蹠)[원유가(遠遊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있었던 몹시 악한 사람의 이름. 유하혜(柳下惠)의 아우로 9천 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였다고 함.

도천(滔天)[안심경찰가 5 페이지 / 전적]

큰물이 하늘에까지 차서 넘침.

도천(盜泉)[석천집(石川集二-四)2-4 91 페이지 / 전적]

中國 山東省 泗水縣 東北에 있는 山. <<水經,洙水注>>:『尸子曰,孔子至于暮矣,而不宿于盜泉,渴矣而不飮,惡其名也.』

도철(饕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饕餮」―惡獸의 이름인데 빌려 凶人의 비유로 씀.〈左傳文公十八年〉「天下之民 以比三凶 謂之饕餮」이라 했고 註에「貪財爲饕 貪食爲餮」이라 했음.

도청(都請)[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몰아서 청구함.

도청(都請)[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몰아서 청구함.

도체(逃滯)하고[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피(逃避)하고. 도망하여 몸을 피함.

도체찰사[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7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나라에 중대한 일이 있을 때 의정의 자급에서 뽑아 임명하던 임시 군직인데 정 1품으로 일을 결단할 수 있는 전권을 위임받았다.

도총관(都摠管)[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오위도총부에서 군무를 총괄하던 정이품 벼슬.

도총도사(都摠都事)[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도총부 도사. 도총은 조선 시대 오위(五衛)의 군사 업무를 담당하던 관서인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를 가리킴. 도사는 조선 시대에 주로 관리의 감찰과 규탄을 맡아보는 종5품의 벼슬임.

도총부(都摠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를 말하는 것으로 중앙의 최고 군사기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