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도임(到任)[심심가(尋心歌) 39 페이지 / 전적]
지방의 관리가 근무지에 도착함.
도임(到任)[옥단춘전이라 7 페이지 / 전적]
지방의 관리가 근무지에 도착함.
도임(到任)[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7 페이지 / 전적]
지방(地方)의 관리(官吏)가 임소(任所)에 도착(到着)함.
도임(到任)[연행별곡(연별곡) 7 페이지 / 전적]
지방(地方)의 관리(官吏)가 임소(任所)에 도착(到着)함.
도작(盜作)[신도가(臣道歌) 8 페이지 / 전적]
①남의 작품(作品)의 일부(一部) 또는 전부(全部)를 본떠서, 제가 지은 듯이 대강 고쳐서 발표(發表)하는 일 ②또는, 그렇게 하여 만든 작품(作品).
도잠(陶潛)[석천집(石川集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陶潛이 遠師와 從遊한 故事를 인거한 말
도잠(陶潛)[석천집(石川集二-三)2-3 22 페이지 / 전적]
동진(東晉)의 문호. 자는 원량(元亮), 연명(淵明)이라고도 함. 성품이 고상하여 오류선생이라 자처하였고, 정절(靖節) 선생이라 존칭하였다. 팽택현령(彭澤縣令) 80여 일로 관계(官界)를 물러나며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가 유명하다.
도장(道場)[금강산유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도량(道場)으로 읽음. 도량은 부처나 보살이 도를 얻는 곳. 또는, 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을 의미함.
도장(道場)[금강산유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도량(道場)으로 읽음. 도량은 부처나 보살이 도를 얻는 곳. 또는, 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을 의미함.
도장고개[용화출세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황산면에 있는 도장마을에서 원평으로 가는 길에 있는 고개.
도장원(都壯元)[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장원(壯元)과 같은 뜻으로 성적(成績)이 가장 우수한 사람을 말한다.
도재심중(道在心中)[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도라는 것은 마음 속에 있다는 뜻.
도재심중(道在心中)[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도라는 것은 마음 속에 있다는 뜻.
도저(到底)[권왕가 38 페이지 / 전적]
행동이나 몸가짐이 빗나가지 않고 철저함.
도저(到底)[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끝까지.
도저(到底)[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끝까지.
도저접리(倒著接罹)[매창월가(梅牕月歌) 2 페이지 / 전적]
접리에 도착하고.
도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4 페이지 / 전적]
「江子椹」- 合璧事類에 『漢 蔡順이 母親을 섬김에 있어 효성이지극하였다.王莽末에 歲荒이 들자, 蔡順은 桑椹을 주어서 두그릇에 갈라 담으니 赤眉賊은 보고서 물었다.順은 대답하기를「검은 것은 맛이 달므로 母親에게 드리고 붉은 것은 맛이 시어 자신이 먹는다」하자 賊은 그 孝에 감동하여 米肉을 보냈다』하였음.여기는 江革 巨孝의 일로 기록되었으나 列傳에 나타나지 않았으니 아마 誤記인 듯함.
도적(盜賊)[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7 페이지 / 전적]
도둑.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등의 나쁜 짓을 하는 사람.
도적(盜賊)[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 페이지 / 전적]
도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