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화이화(桃花梨花)[남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도화는 복숭아꽃. 이화는 배꽃.

도화이화(桃花梨花)[남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도화는 복숭아꽃. 이화는 배꽃.

도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돋은 것이. 돋은 곳이. ‘’는 ‘것’에 해당하는 불완전명사.

독(櫝)[송강집(松江集三)3 103 페이지 / 전적]

신주(神主)의 주신(主身)을 모신 것.

독거(獨居)[시절가 12 페이지 / 전적]

혼자 삶. 또는 홀로 지냄.

독고(獨孤[장씨부인역사라 6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성의 하나. 본관은 남원 뿐.

독고(獨孤[장씨부인역사라 6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성의 하나. 본관은 남원 뿐.

독공(篤工)[신자가(信字歌) 10 페이지 / 전적]

열성을 가지고 부지런히 공부함.

독교(獨轎)[장씨부인역사라 9 페이지 / 전적]

말 한 마리가 끄는 가마.

독교(獨轎)[장씨부인역사라 9 페이지 / 전적]

말 한 마리가 끄는 가마.

독교(獨轎)[후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말 한 마리가 끄는 가마.

독권한매(獨椦寒梅)[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홀로 구부리고 서 있는 매화나무.

독권한매(獨椦寒梅)[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홀로 구부리고 서 있는 매화나무.

독동묘[청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독동파적벽부(讀東坡赤壁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9 페이지 / 전적]

「赤壁賦」― 宋나라 文章家 蘇軾은 七月旣望의 前赤壁賦와 十月望日의 後赤壁賦를 지어 千古에 膾炙하였음.

독락원(獨樂園)[석촌별곡 9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 사마광(司馬光)이 왕안석(王安石)의 신법에 반대해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조영한 정원.

독락원(獨樂園)[송강집(松江集三)3 87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사마온공(司馬溫公)이 거처하던 곳.

독락원(獨樂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8 페이지 / 전적]

「獨樂園」―宋人 司馬光이 洛陽에 살적에 國子監의 側近處에서 예전 營地를 얻어 獨樂園을 創建하고 記를지었다.蘇軾이 詩를 지어 그 樂을 形容한바 있어 선생도 글제로 삼아 지은 것임.

독립만세(獨立萬歲)[합셩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의 독립(獨立)을 위해 만세(萬歲)를 부름.

독립만세(獨立萬歲)[합셩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의 독립(獨立)을 위해 만세(萬歲)를 부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