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등화소친(燈火稍親)[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등불과 점차 친해지다.
디거야[ 1 페이지 / ]
떨어지니.
디다보고[동상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들여다보고’의 방언(경기, 경남, 전남, 충북).
디류동뉴[셕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지류동류(支流同類). 부모형제에서 갈려난 형제 피붙이들.
디리[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들입다(세차게 마구)’의 경상도 방언.
디이[셕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지일에. 자기일에.
디친거졍[셕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지친(至親)까지. 가까운 친척까지.
디니[ 1 페이지 / ]
떨어지는 것은.
딘중하기[셕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진중(鎭重)하기. 사람 됨됨이 점잖고 무게가 있다는 말.
딘홍일다[셕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진홍(眞紅)이다.
딜부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8 페이지 / 전적]
질부는 질부(姪婦)로, 통상 조카의 부인을 가리키나 여기서는 ‘질부(姪夫)’로 조카의 의미로 보아야 문맥에 맞을 것 같다.
딩기[신힁가라 14 페이지 / 전적]
‘겨(벼, 보리, 조 따위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의 경상남도 방언.
따라하야[충효가(忠孝歌) 32 페이지 / 전적]
음양다소 ~ 天地道利 부분은 농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지식들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부[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따비를 가리키는 방언. 따비는 땅을 일구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농기구이다. 이것은 농경문화 이전의 수렵채집민이 사용하던 뒤지개[굴봉(掘棒)]가 발달한 것으로 뒤에 쟁기나 극쟁이로 발달하였다.
따부[회츈가라 4 페이지 / 전적]
따비. 풀뿌리를 뽑거나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 쟁기보다 조금 작고 보습이 좁게 생겼음. 청동기 시대의 유물에서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측됨.
따부[영산초장이라 2 페이지 / 전적]
따비. 풀뿌리를 뽑거나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 쟁기보다 조금 작고 보습이 좁게 생겼음. 청동기 시대의 유물에서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측됨.
딱는자도[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당하는 자도.
딴말[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다른 말이.
딴말[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다른 말이.
딸기 색은[계녀사라 11 페이지 / 전적]
내용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