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등대(等待)[셔유곡 4 페이지 / 전적]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신힁가라 4 페이지 / 전적]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팔도가 5 페이지 / 전적]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팔도가 5 페이지 / 전적]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운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등대(等待)하니[경노의심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탈것이) 미리 갖추고 기다리니.

등대할 제[착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미리 준비하고 기다릴 때

등도(登途)[옥산가라 53 페이지 / 전적]

등정(登程). 길을 떠남.

등동고이 서소하고 님청유이 부시로다[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5 페이지 / 전적]

도연명이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구절인 “登東皐以舒嘯 臨淸流而賦詩(동쪽 언덕에 올라 조용히 읊조리고 맑은 시냇가에서 시를 짓는다)”를 인용한 것임.

등동고이(登東皐而)[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동고에 올라.

등동고이(登東皐而)[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동고에 올라.

등동고이서소 임청류이부시(登東皐而叙嘯 臨淸流而賦詩)[사친가1(思親歌(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晋)나라 도잠(陶潛)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나오는 글로서, ‘동쪽 언덕에 올라서 노래를 부르고, 맑은 시냇물에 나아가 글을 읊는다.’는 뜻.

등등(騰騰)[두껍전이라(겁젼이라) 10 페이지 / 전적]

기세가 무서울 만큼 높음.

등등(騰騰)[죽엽가(쥭엽가) 10 페이지 / 전적]

기세가 무서울 만큼 높음.

등등임운(騰騰任運)[이회심곡(二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조금도 조작이 없이 법 그대로.

등림[석천집(石川集二-二)2-2 198 페이지 / 전적]

(과보가) 죽을 때 내던진 지팡이에 그의 시체에서 기름과 살이 스며들어 등림이라는 숲을이뤘는데, 등림은 그 넓이가 수천 리에 이르렀다. -<<열자>> <탕문(湯問)>

등림(鄧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鄧林」―列子 陽問에「夸父가 제힘을 헤아리지 아니하고 日影을 따르려고 하다가 길에서 목이 말라 죽었다. 그 杖을 버렸는데 尸의 膏肉이 젖어들어 鄧林이 生하여, 그 鄧林의 넓이가 數千里에 달했다」라 하였음.

등림(鄧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8 페이지 / 전적]

「鄧林大春」- 鄧林은 仙林을 말함, 淮男子 墜形에 「夸父棄其策是爲鄧林」이라 하였음.大春은 莊子 消遥遊에 「上古有大椿者以八千歲爲春 以八千歲爲秋」라 했는데, 여기는 暘谷扶桑의 뜻과같이 많은 장작을 마련했다는 것을 표현한 비유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