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등서(謄書)[시골여자서련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베껴씀.
등선(登仙)[고분가 27 페이지 / 전적]
존귀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등선(登仙)[고분가 27 페이지 / 전적]
존귀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등소탁라(登巢椓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6 페이지 / 전적]
「登巢椓蠡」- 나무 위에 둥지 치고 자며 蠡蟀을 잡아먹고 산다는 뜻임.瑞昭의 東征賦에 「諒不登巢而椓蠡兮」라 하였고, 善註에 「上古에는 君臣이 있지 않고 또 宮室도 없고 火食을 몰랐다는 말이다」하였음.椓은 周禮註에「擊也」라 했다
등신(等神)[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나무, 돌, 흙, 쇠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등신(等神)[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쇠ㆍ돌ㆍ풀ㆍ나무ㆍ흙 등(等)으로 만든 사람의 형상(形像).
등신(等神)[한양가라 89 페이지 / 전적]
나무, 돌, 흙, 쇠 등으로 만든 사람의 모습.
등신(等神)[환무자탄가 32 페이지 / 전적]
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등양(騰揚)[용문가라 7 페이지 / 전적]
세력이나 지위가 높아서 드날림.
등왕각(滕王閣)[원유가 5 페이지 / 전적]
강서성에 있는 누각으로 악양루, 황강루와 함께 중국의 3대 누각.
등왕각(滕王閣)[남여동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 태종의 아우 등왕(滕王)이 강서성(江西城) 남창(南昌)의 서남방(西南方)에 세운 누각.
등왕각(滕王閣)[남여동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 태종의 아우 등왕(滕王)이 강서성(江西城) 남창(南昌)의 서남방(西南方)에 세운 누각.
등왕각(滕王閣)[별한가 35 페이지 / 전적]
중국 강서성(江西省) 강서현(江西縣) 신건(新建) 서쪽 장문강(章門江) 위에 있는 누각(樓閣)의 이름. 당고조(唐高祖)의 막내 아들 등왕(蕂王)이 이 땅의 책사(策史)로 있을 때 지은 것임.
등왕각서(滕王閣序)[규중여자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唐)의 왕발(王勃 : 649∼676)이 지은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 원 제목은 《추일등홍부등왕각전별서(秋日登洪符滕 王閣錢別序)》 《등왕각시서(滕王閣詩序)》라고도 한다. 등왕각은 그 옛터가 지금의 강서성(江西省) 남창시(南昌市)에 있다.
등유(燈油)[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4 페이지 / 전적]
등불용의 기름.
등자경(騰子京)[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송(宋) 인종(仁宗) 경력(慶歷) 4년(1044), 봄에 등자경(藤子京)이 익주(益州) 태수로 좌천되면서 퇴락해진 악양루를 증수함.
등자경(騰子京)[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송(宋) 인종(仁宗) 경력(慶歷) 4년(1044), 봄에 등자경(藤子京)이 익주(益州) 태수로 좌천되면서 퇴락해진 악양루를 증수함.
등잔뒤의 남보기와[복션화음록 17 페이지 / 전적]
등잔뒤에서 남 보기와. ‘등잔 뒤가 밝다’라는 속담처럼 사람을 너무 가까운데서만 보고 허물을 말하지 말라는 말. 사물은 좀 떨어져 보는 편이 더 잘 알 수 있다는 말.
등장(等狀)[회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등소(等訴). 여러 사람이 연명으로 관가에 호소하는 것
등장가세[청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등장(等狀)은 여러 사람들이 연명하여 관청에 어떠한 요구를 하소연한 것을 말함. 등소(等訴)와 같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