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뜨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7 페이지 / 전적]

「萱草」- 一名은 忘憂草임.詩經 衛風伯傳에 「焉得萱草 言樹之背」가 있는데 「註에 諼은 萱과 같고 背는 北堂이아」라 하였음,대개 北堂은 어머니가 居處하는 곳이므로 俗稱 어머니를 萱堂이라 함.

뜨락[석천집(石川集二-五)2-5 77 페이지 / 전적]

대궐 또는 궁궐.

뜨신차반[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따뜻하고 맛있게 잘 차린 음식.

뜨신차반[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따뜻하고 맛있게 잘 차린 음식.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浮名」- 仕官을 말함. 杜甫詩에「何用浮名絆此身」의 글구가있음

뜯적이며[나부가라(라부가라) 9 페이지 / 전적]

뜯고 부비며.

뜰뜰[회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바퀴 따위가 단단한 바닥을 굴러 가는 소리.

뜰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9 페이지 / 전적]

「艮其背」-易 艮卦에 『艮其背 不獲其身 行其庭 不見其人』이라 했는데 傳에 『所見者在前 而背乃背之 是所不見也 行其庭不見其人 庭除之間至近也 在背則不見』이라 했음. 대개 外物이 接하지 않으면 內欲이 싹트지 않는다는 뜻임.

뜰이난데[환무자탄가 36 페이지 / 전적]

떨어졌는데, 부러졌는데.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6 페이지 / 전적]

「繼志述事」- 中庸에 「夫孝者 善繼人之志 善述人之事者也」라하였음.

뜻밖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邂逅」― 期約을 하지 않고 만난 것을 말함. 詩經 鄭風 野有蔓草에 「邂逅相遇 適我願兮」라 했고 또 唐風綢繆에「今夕何夕見此邂逅」라 했는데 모두 義가 같음.

뜻밖에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邂逅」―기약 없이 不意에 만난 것을 이름. 詩經 鄭風 野有蔓草에「邂逅相 遇與子偕臧」의 句가 있음.

뜻을 이루었기에[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43 페이지 / 전적]

와신상담의 고사를 말함.

뜻을순케[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7 페이지 / 전적]

뜻에 따르게 함.

뜻하지 않은 환난을 갑자기 만나서[삼강오륜가 서 12 페이지 / 전적]

불의환난 거조(不意患難遽遭).

뜻함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無意無必」- 論語에 「子絕四 無意 無必 無固 無我」라 하였음.

띄알거더 지와이으며[복션화음록 12 페이지 / 전적]

띠 지붕을 걷어 기와를 이으며. 초가지붕을 걷어내고 기와지붕을 이으며.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8 페이지 / 전적]

「書紳」- 항상 보아 잊지 않는다는 뜻임. 論語 衛靈公篇에 「子張問行 子曰言忠信 行篇敬……子張書諸紳」이라 하였음.

락월[ 1 페이지 / ]

낙월落月. 지는 달.

래자길아(來者吉我)[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오는 것은 길(吉)이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