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득죄(得罪)[회경가 14 페이지 / 전적]

남에게 큰 잘못을 저질러 죄를 지음

득죄군왕(得罪君王)[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군왕에게 죄를 지음.

득죄부모(得罪父母)[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부모에게 죄를 지음.

득죄부모(得罪父母)[용담가라 4 페이지 / 전적]

세상 벼슬에 출세하여 부모의 이름을 높이지 못해서 부모에게 죄를 지음.

득죄어인(得罪於人)[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사람에게 죄를 얻음.

득죄어인(得罪於人)[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사람에게 죄를 얻음.

득죄어천(得罪於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죄를 얻음.

득죄어천(得罪於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죄를 얻음.

득체득화(得體得化)[지리산이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형체와 조화를 얻음.

득케하여[환무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얻게 하여.

든난 후에[경게가라 4 페이지 / 전적]

들고 난 뒤에.

든난 후에[경게가라 4 페이지 / 전적]

들고 난 뒤에.

듣고지운[추월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듣고싶은.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野鹿護松」-褚無量이 母親喪을 당해 廬墓하는데 群鹿이 심어놓은 松楸를 犯하므로 無量은 號訴하며 말하기를「山林이 하 많은데 나의 塋城의 樹木을 犯하단 말인가」하였다. 이 뒤부터는 羣鹿이 馴擾하여 다시 犯한 일이 없었음.

들가죽고[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들어가 죽고

들고난데[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들고 나는데.

들놓으며[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들었다 놓았다 함.

들빗흘[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들 빛을.

들사람처럼 미나리를 바치고[석천집(石川集二-二)2-2 180 페이지 / 전적]

들사람이 (하찮은) 미나리를 귀하게 여겨, 지존에게 바치기를 원했다. <<여씨춘추(呂氏春秋)>>

들사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野鹿」- 安祿山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