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망월(望月)의 깊은 골짝[석촌별곡 15 페이지 / 전적]

망월봉(望月峯)과 망월촌(望月村)의 골짜기. 담양군 남면 만월리에 있다.

망월(望月)하는[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달을 바라보는.

망의(?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0 페이지 / 전적]

중신(重臣)들이 입던 옷으로 곤룡포와 비슷하게 생긴 관복(官服).

망일(望日)[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6 페이지 / 전적]

음력 15일을 말함.

망일(望日)[동국조선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보름날.

망자(亡者)[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명이 다한 사람. 돌아가신 이.

망자(亡者)[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명이 다한 사람. 돌아가신 이.

망자비박(妄自菲薄)[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의 <출사표>에 나오는 말. 망령되이 스스로를 보잘 것 없고 넓게 바라 봄. 자신을 과소평가(評價)거나, 자신을 하찮은 사람으로 스스로 비하(卑下)한다는 뜻.

망자비박(妄自菲薄)[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의 <출사표>에 나오는 말. 망령되이 스스로를 보잘 것 없고 넓게 바라 봄. 자신을 과소평가(評價)거나, 자신을 하찮은 사람으로 스스로 비하(卑下)한다는 뜻.

망저군(望諸君)[송강집(松江集一)1 102 페이지 / 전적]

악의(樂毅)를 말한 것임.

망정芒情[ 1 페이지 / ]

희로애락의 정을 잊음

망제(望帝)[사친곡 5 페이지 / 전적]

촉나라 임금 망제가 위나라에 망한 후 도망쳐 복위를 꿈꾸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억울하게 죽어 그 혼이 두견새가 되었다.

망제(望帝)[양친가(養親歌) 28 페이지 / 전적]

일명 두견새. 죽어서 두견이가 되었다는 촉(蜀)왕 ‘두우’를 일컫기도 함.

망제(望帝)[사도곡(思悼曲) 2 페이지 / 전적]

일명 두견새. 죽어서 두견이가 되었다는 촉(蜀)왕 ‘두우’를 일컫기도 함.

망제파잠비욕도(望裏巴岑飛欲度)[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5 페이지 / 전적]

다른 새는 둥지 있어 돌아가거늘

망조(亡兆)[두껍전이라(겁젼이라) 5 페이지 / 전적]

망하거나 패할 징조.

망조(亡兆)[죽엽가(쥭엽가) 5 페이지 / 전적]

망하거나 패할 징조.

망조(莽操)[송강집(松江集五)5 6 페이지 / 전적]

왕망(王莽)은 서한(西漢)의 역신, 조조(曹操)는 동한(東漢)의 찬신임.

망종(芒種)[춘산노인담 5 페이지 / 전적]

이십사절기의 하나.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이맘때가 되면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된다. 6월 6일 무렵이다.

망종(芒種) 하지(夏至)[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일년 24절기의 하나. 양력으로 6월 6일경임. 일년 24절기의 하나. 양력으로 6월 21일경으로,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때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