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매작(媒妁)[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매(仲媒).

매작(媒妁)[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매(仲媒).

매작이[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매쟁이.

매전사(賣田砂)[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9 페이지 / 전적]

재산을 탕진하게 되는 운수를 뜻함.

매질불화(妹侄不和)[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누이동생과 조카들과 화친하지 못하는 것.

매질불화(妹侄不和)[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누이동생과 조카들과 화친하지 못하는 것.

매질불화(妹侄不和)[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누이동생과 조카들과 화친하지 못하는 것.

매첩(買妾)[혼례가(婚禮歌) 3 페이지 / 전적]

첩을 사는 것.

매파(媒婆)[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매구(媒嫗). 혼인을 중매하는 할멈.

매파(媒婆)[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5 페이지 / 전적]

혼인을 중매하는 사람.

매형[석천집(石川集二-二)2-2 96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시인 황정견이 매화의 고결한 정취를 높이 평가해 형이라 하고, 수선화를 아우라 하였다

매형(梅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99 페이지 / 전적]

「梅兄」-뭇 꽃은 論序하여 사람에 비기되 혹은 兄弟라 稱하여 高情을 나타내는 일이 있음. 이를테면 黃庭堅이 水仙花를 읊으면서 『山礬是弟梅是兄』이라 한 類가 그 例임.

매혹(魅惑)[후원초당 봄이듯이 10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마음을 사로잡아 호림.

매화 국화(梅花菊花) 한철[이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매화도 한철 국화도 한철. 모든 것은 한창 때가 따로 있으나, 반드시 쇠하고 마는 데는 다름이 없다는 말.

매화낙지(梅花洛地)[옥산가라 49 페이지 / 전적]

풍수지리적으로 매화꽃이 땅에 떨어진 형국의 명당을 말함. 매화가 땅에 떨어지면 그윽한 향기가 사방에 퍼지는 것과 같이 '매화낙지 명당'에 무덤을 쓰면 매화 향기처럼 고상한 후손들이 태어난다고 함.

매화낙지(梅花落地) 연소형(燕巢形)[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 페이지 / 전적]

매화가 떨어지는 곳의 제비집 형상.

매화루[팔역가(八域歌) 19 페이지 / 전적]

영월에 있는 누각, 매화루는 매죽루인 듯

매화매(梅花梅)도[애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매화나무의 매화꽃도

매희(妹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8 페이지 / 전적]

「妹喜妲己」―妹喜는 桀의 妾인데 王篇에 보임. 國語晋語에「昔夏桀伐有施 有施人以妹喜妻焉」이라 했음.

맥고자(麥藁子)[노졍긔 15 페이지 / 전적]

맥고모자(麥藁帽子). 맥고로 만든 모자. 개화기에 젊은 남자들이 주로 썼음. ‘밀짚모자’로 순화.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