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맥고자(麥藁子)[노졍긔 15 페이지 / 전적]

맥고모자(麥藁帽子). 맥고로 만든 모자. 개화기에 젊은 남자들이 주로 썼음. ‘밀짚모자’로 순화.

맥두양류쟁춘색(陌頭楊柳爭春色)[한양가라 25 페이지 / 전적]

맥두양류쟁춘색(陌頭楊柳爭春色)

맥맥히[상사가라 9 페이지 / 전적]

기운이 막혀 감감하게.

맥반총탕(麥飯蔥湯)[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보리밥과 파국.

맥반총탕(麥飯蔥湯)[경난가 21 페이지 / 전적]

‘보리밥과 팟국’이라는 뜻으로 거친 음식을 이름.

맥수麥穗[ 1 페이지 / ]

맥수麥秀와 같은말. 보리의 이삭이 패다. 은나라가 망한뒤 기자기자가 폐허가 된 옛 도읍지를 지나게 되었는데 궁전이 있던 자리에 보리 이삭이 팬것을 보고 슬퍼했다는 고사.

맥수가(麥秀歌)[명륜가(明倫歌) 3 페이지 / 전적]

기자(箕子)가 멸망한 그의 조국 은(殷)나라의 도읍지를 지나면서 읊었다는 노래 이름.

맥전(麥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보리밭.

맥추(麥秋)[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보릿가을. 보리가 익은 때.

맥추(麥秋)[조심가라 5 페이지 / 전적]

익은 보리를 거두어들이는 철.

맥추(麥秋)[조심가라 5 페이지 / 전적]

익은 보리를 거두어들이는 철.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9 페이지 / 전적]

「訥齋」- 朴祥인데 忠州人이요, 字는 昌世이며 成化 甲年에 生하여 弘治 丙辰에 進士로 幸酉에 及第하고 弘文館修撰 및 校理 應敎를 歷任하였음. 文章直節이 一世를 聳動하였으며 謚는文簡임.

맨자지미[나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쌀밥(멥쌀로 지은 밥)’의 방언.

맬로디(mellody)[화류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가락. 노래

맵시[경영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

맹 동야(孟東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8 페이지 / 전적]

「孟韓」―唐代의 孟郊와 韓愈는 莫逆의 詩友임. 韓愈詩 『東野爲龍我爲雲』이란 句가 있음.

맹가(孟嘉)[원유가 4 페이지 / 전적]

진의 맹가가 연석에서 바람에 모자가 떨어져도 당황하지 않고 도리어 태연히 풍류를 즐겼다는 고사.

맹가씨(孟軻氏)[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맹자. ‘맹가’는 맹자의 이름

맹간이라[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만드니라.

맹간이라[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만드니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