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망측(罔測)[한양가라 43 페이지 / 전적]

이치에 맞지 아니하여 어이가 없거나 차마 보기가 어렵다.

망치(㤀置)[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5 페이지 / 전적]

망각.

망치(㤀置)[합자가(合字歌) 1 페이지 / 전적]

망각.

망치(㤀置)[길자가(吉字歌) 1 페이지 / 전적]

망각.

망치(忘置)[소년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잊어버림.

망치(忘置)[소년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잊어버림.

망친의게[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6 페이지 / 전적]

망친(亡親)에게. 돌아가신 부모님에게.

망탕(芒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芒碭五雲」- 史記 高祖本記에『秦始皇이 노상「東南에 天子氣가 있다」하고 東遊하여 그 氣를 누르니 高祖가 스스로 의심하여 芒碭山巖石의 사이에 』逃匿하였는데 高祖가 있는 그 위에는늘 五色의 구름이 있었다』라 하였음.

망탕산(芒碭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芒碭山」-史記 高祖本紀에『秦始皇帝는 노상 하는 말이 「東南에 天子의 氣가 있다」하고 東遊를 인하여 厭之하니 高祖는 자기를 두고 이름인가 의심하여 亡匿 해서 芒碭山澤의 巖石사이에 숨다』라 하였음。

망태행지고운(望太行之孤雲)[사친가1(思親歌(一)) 3 페이지 / 전적]

태행산의 외로운 구름을 바라봄. 태행(太行) : 태행산(太行山). 중국 산서성(山西省)의 남쪽 태행산맥의 주봉(主峰). 험준한 산으로 유명하여 태행험(太行險)이라 이르고, ‘태행도(太行道)’는 태행산의 험준한 길을 두고 이름.

망형(忘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0 페이지 / 전적]

「忘形」-形骸를 잊는다는 말임. 杜甫詩에 『忘形到爾汝 痛飮眞吾師』가 있음.

망혜(芒鞋)[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짚신.

망혜(芒鞋)[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짚신.

망혜(芒鞋)[가야희인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미투리. 삼이나 노 따위로 만든 짚신.

망혜(芒鞋)[차운 9 페이지 / 전적]

짚신.

망혜로[석천집(石川集二-二)2-2 16 페이지 / 전적]

대본에는 망(芒)자가 망(蟒)자로 되어 있다.

망이라[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망연(茫然)이라. 아무 생각이 없다.

맞고[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맞아들이고.

맞고[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맞아들이고.

맞바꾼[친우상별가라 3 페이지 / 전적]

더 보태거나 빼지 아니하고 어떤 것을 주고 다른 것을 받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