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명호(名號)[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이름과 호를 아울러 이르는 말.
명화(名花)[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름난 꽃.
명화(名華)[냥신낙사가(냥신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명문(名門).
명화(名華)[냥신낙사가(냥신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명문(名門).
명화(明火)[가사소리 28 페이지 / 전적]
횃불과 무기를 들고 공공연히 활동한다는 뜻으로, 거리낌 없이 강탈하고 나쁜 짓을 하는 것을 이름.
명환(名宦)[초씨션원쳥음가 3 페이지 / 전적]
중요한 자리에 있는 벼슬.
명황[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당나라 현종이 안록산의 난리 때 성도로 몽진함
명황(明皇)[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의 시호.
명황(明皇)[슈절자탄가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 제6대 황제인 현종(玄宗)의 시호.
명황(明皇)[슈절자탄가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 제6대 황제인 현종(玄宗)의 시호.
명쳐[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명하처(明何處)에. 알 수 있는 어느 곳에. 알 만한 곳.
몇때인고[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몇해인가.
몇철[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몇해.
모(母)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모는. 어머니는.
모각(暮角)[ 1 페이지 / ]
석양에 들려오는 피리소리.
모간(母艱)[송강집(松江集二)2 169 페이지 / 전적]
모상(母喪).
모곡(耗穀)[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7 페이지 / 전적]
세곡이나 환곡, 군자곡 따위를 내주고 받을 때나 창고에 보관 할 때 자연적으로 축나는 것 모흠(耗欠) 모축(耗縮)이라고도 함. 이처럼 축나는 것에 대비하여 더 거두는 것 모미(耗米), 환모(還耗), 작서미(雀鼠米) 등으로도 쓰임.
모골송연(毛骨悚然)[명륜가(明倫歌) 80 페이지 / 전적]
끔직스러워 몸이 으쓱하고 털끝이 쭈뼛해짐.
모구(旄丘)[송강집(松江集三)3 29 페이지 / 전적]
여(黎)나라 군신이 위(衛) 나라에서 칡〔葛〕이 자람을 보고 철이 바뀜에 감동하였다. 詩經 邶風에「旄丘之葛兮何誕之節兮」
모귀(謀貴)[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4 페이지 / 전적]
귀하도록 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