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모첨(茅簷)[사미인곡 8 페이지 / 전적]

초가집 처마.

모첨(茅簷)[조선충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가지붕의 처마.

모첨茅簷[ 1 페이지 / ]

초가 지붕의 처마

모쳠 비쵠[ 1 페이지 / ]

모첨(茅簷. 초가 지붕의 처마) 비춘 해.

모초단(毛綃緞)[벽천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한 종류.

모촌(茅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7 페이지 / 전적]

「茅村酒」― 張甫의 사는 마을이름이 茅村이거나 아니면 蘇軾詩의 「誤入華陽洞 竊飮茅君酒」에서 取材하여 茅仙의 술을 受惠했다는 말임

모춘(暮春)[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만춘(晩春). 늦은 봄. 곧, 음력 3월을 일컫는 말.

모춘(暮春)[슈절자탄가 8 페이지 / 전적]

음력 3월인 늦봄을 이름.

모춘(暮春)[슈절자탄가 8 페이지 / 전적]

음력 3월인 늦봄을 이름.

모춘(暮春)[붕우들아춘회굑 1 페이지 / 두루마리]

늦은 봄. 음력 3월.

모춘(暮春)[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3월의 봄.

모춘(暮春)[운청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3월.

모춘(暮春)[가야희인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늦은 봄. 음력 3월을 달리 이르는 말.

모춘(暮春)[별한가 18 페이지 / 전적]

늦은 봄. 음력 3월을 달리 이르는 말.

모춘광풍(暮春狂風)[붕우들아춘회굑 3 페이지 / 두루마리]

늦은 봄의 모진 바람.

모춘삼월(暮春三月)[입추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삼월.

모춘삼월(暮春三月)[반졀퓨리 4 페이지 / 전적]

봄이 저물어 가는 음력 삼월.

모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2 페이지 / 전적]

「祭母」- 申生이 生母 齊姜을 위하여 曲沃에서 祭하고 胙를 獻公에게 올렸는데, 驪姬가 그 胙에 毒을 加하여 公에게 모함하였음.

모친(母親)[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4 페이지 / 전적]

어머니.

모친(母親)[연행별곡(연별곡) 14 페이지 / 전적]

어머니.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