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모모暮暮[ 1 페이지 / ]

저녁마다.

모모이[회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이런 면 저런 면마다.

모몰염치(冒沒廉恥)[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모몰염치(冒沒廉恥)[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모몰염치(冒沒廉恥)[도슈샤 8 페이지 / 전적]

염치가 없음을 무릅씀.

모몰염치(冒沒廉恥)[권학가 9 페이지 / 전적]

염치없음을 무릅씀.

모몰염치(冒沒廉恥)[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염치없음을 무릅씀.

모몰염치(冒沒廉恥)[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염치가 없음을 무릅씀.

모몰염치(冒沒廉恥)[창덕가2 18 페이지 / 전적]

염치(廉恥) 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일을 행(行)함을 이르는 말.

모몰염치(冒沒廉恥)[창덕가2 68 페이지 / 전적]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모몰염치(冒沒廉恥)[창덕가2 86 페이지 / 전적]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모몰염치(冒沒廉恥)[창덕가2 19 페이지 / 전적]

염치(廉恥) 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일을 행(行)함을 이르는 말.

모몰염치(冒沒廉恥)[창덕가2 69 페이지 / 전적]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모몰염치(冒沒廉恥)[창덕가2 87 페이지 / 전적]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모문룡(毛文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3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의 장군(1576~1629). 조선 광해군 14년(1622) 철산 가도에 진을 치고 우리 조정에 후금을 치도록 강요하여, 외교상 큰 지장을 초래하던 중 원숭환(袁崇煥)에게 피살되었다.

모반(謀反)[초씨션원쳥음가 7 페이지 / 전적]

배반을 꾀함.

모반(謀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 페이지 / 전적]

자기 나라를 배반하고 남의 나라를 좇기를 꾀함.

모발(毛髮)[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카락.

모별자(母別子)[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어머니가 아들과 이별함.

모별자(母別子)[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어머니가 아들과 이별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