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모기(媢忌)[석천집(石川集二-五)2-5 154 페이지 / 전적]
질투하고 싫어함.
모꼬지[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모꼬지[자소가(소가) 13 페이지 / 전적]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모대(帽帶)하고[칠여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에 쓰는 모자와 허리에 두르는 띠로서 사모관대(紗帽冠帶)의 줄임말인 모대(帽帶)를 쓰고 라는 뜻.
모대(暮大)[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늙고 장성함.
모대(暮大)[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늙고 장성함.
모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0 페이지 / 전적]
「軆物不遺」- 物의 軆가 되어, 物이 버리자 해도 버리지 못함을 이름. 中庸註에「軆物而不可遺」라 하였음.
모란봉(牧丹峯)[한양가라 80 페이지 / 전적]
평양 북쪽에 있는 작은 산. 꼭대기에 모란대(牡丹臺), 최승대(最勝臺), 을밀대 등의 누각이 있고, 동쪽은 절벽을 이루어 대동강을 굽어보고 있어서 경치가 빼어나다.
모랄젹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1 페이지 / 전적]
모를 적에.
모래밭 가에서 사냥하던 문왕을 만나면[석천집(石川集二-二)2-2 34 페이지 / 전적]
문왕의 동산은 사방 칠십리였는데, 백성들이 누구나 들어가 사냥하고 나무도 했다고 한다.
모략중상(謀略中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남을 모략하여 명예를 손상시킴. 또는 그런 일.
모렴(慕濂)[옥산가라 3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의 효자인 정도동(鄭道東). 자는 행지(行之), 호는 모렴(慕濂). 학포(學圃) 정훤(鄭暄)의 후손. 천성이 효성스러워 어머니의 상중일 때 묘 옆에 여막을 짓고 3년간의 시묘살이를 마치도록 죽과 밥을 들지 않고 보리 가루를 물에 타 마셨다 함. 새벽과 저녁으로 묘에서 곡한 뒤 냇물을 건너 수 리나 떨어져 있는 아버지를 찾아가 보살펴 드리는 일을 비록 추울 겨울일지라도 그치지 않고 지성으로 시행함.
모를손[나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모를 것을.
모리(謀利)하는[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도덕과 의리는 생각하지 않고 오직 부정한 이익만을 꾀함.
모리(謀利)하는[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도덕과 의리는 생각하지 않고 오직 부정한 이익만을 꾀함.
모말(毛末)[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털끝.
모맥(牟麥/麰麥)[김씨효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보리.
모맥(麰麥)[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보리.
모면(謀免)[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책임이나 맡은 일을 벗어나려고 꾀함.
모모(嫫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9 페이지 / 전적]
「嫫鹽」-嫫母, 無鹽의 合稱임。列女傳에 의하면 「嫫母는 黃帝의 妃인데 얼굴은 심히 醜하나 賢行이 있었다」라 했으며 無鹽은 古地名으로 戰國時代 齊邑인데 宣王의 后인 醜女 鍾離春이 바로 이 고을 사람이었음。晋書 周顗傳에 「刻畫無鹽 唐突西施」라 했는데 이는 醜로써 美에 견주니 此擬가 倫이 아니라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