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모우(冒雨)[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비를 무릅씀.

모우暮雨[ 1 페이지 / ]

저녁 비.

모우미성(毛羽未成)[교훈가 11 페이지 / 전적]

털과 깃을 아직 제대로 갖추지 못한 어린 새처럼 사람이 아직 어리고 미숙함.

모운(暮雲)[신힁가라 19 페이지 / 전적]

날이 저물 무렵의 구름.

모운(暮雲)[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저녁 구름.

모운(暮雲)[합강정가(合江亭歌) 2 페이지 / 전적]

저녁 구름.

모운초권월초생(暮雲初捲月初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저문 구름이 처음 걷으매 달이 처음 나옴이라.

모월모일(某月某日)[사친가2(思親歌(二)) 3 페이지 / 전적]

아무 달 어느 날. 택일(擇日) : 택길(擇吉). 좋은 날을 가려서 고르는 것.

모월지심(暮月之心)[당산조션가 10 페이지 / 전적]

저녁 무렵 달을 보고 생긴 심회.

모월지심(暮月之心)[어와따님요(어와님요) 1 페이지 / 전적]

저녁 무렵 달을 보고 생긴 심회.

모윳개걸[의향소창가 14 페이지 / 전적]

윷놀이.

모윳개걸[리행소챙가 7 페이지 / 전적]

윷놀이.

모윷[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에서 4, 5단계인 윷, 모를 말함.

모은(母嚚)[대효가(大孝歌) 4 페이지 / 전적]

어머니가 어리석음.

모의(母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2 페이지 / 전적]

「母儀」-人母의 儀則이 될 만하다는 뜻임.

모의(謀議)[경장가(敬長歌) 4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꾀하고 의논함.

모인(某人)[막소가(莫笑歌) 5 페이지 / 전적]

아무 사람.

모자[면앙집(俛仰集 一)1 72 페이지 / 전적]

落帽 : 晋의 孟喜가 龍山에서 바람에 帽子가 떨어져 桓溫이 이를 題目으로 詩를 짓게 했다

모자(母子)[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와 아들.

모자(茅茨)[ 1 페이지 / ]

띠. 개옥 蓋屋.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