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모자茅茨[ 1 페이지 / ]

띠로 만든 집. 초갓집

모자부전(茅茨不剪)[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붕을 띠로 이은 대로 가지런히 자르지 않고 둔다는 뜻으로, 곧 소박한 생활을 일컬음.

모자부전(茅茨不剪)[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붕을 띠로 이은 대로 가지런히 자르지 않고 둔다는 뜻으로, 곧 소박한 생활을 일컬음.

모적(蟊賊)[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백성의 재물을 빼앗거나 좀먹는 탐관오리를 이르는 말.

모족(毛族)[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1 페이지 / 전적]

털을 가진 네 발 짐승의 총칭. 모류(毛類).

모족(毛族)[자경별곡 6 페이지 / 전적]

털을 가진 네 발 짐승의 총칭. 모류(毛類).

모족(毛族)[ 1 페이지 / ]

털을 가진 네 발 짐승의 총칭. 모류(毛類).

모족(毛族)[자경별곡(自警別曲) 3 페이지 / 전적]

털을 가진 네 발 짐승의 총칭. 모류(毛類).

모종暮鐘[ 1 페이지 / ]

저녁 종소리.

모주(母主)[운청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당(慈堂)과 같은 말로 '어머니'를 뜻함.

모주(母酒)[시절가 12 페이지 / 전적]

재강에 물을 타서 뿌옇게 걸러낸 탁주.

모진(耗盡)[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5 페이지 / 전적]

줄거나 또는 해져서 다 없어짐.

모진(耗盡)[합강정가(合江亭歌) 9 페이지 / 전적]

줄거나 또는 해져서 다 없어짐.

모진범[유경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보통 ‘초산(楚山)에 모진범’이라고 하여 항우를 가리킴.

모진범[유경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보통 ‘초산(楚山)에 모진범’이라고 하여 항우를 가리킴.

모책(母責)[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의 책임.

모책(謀策)[자탄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처리하거나 모면할 꾀를 세움.

모책(謀策)[환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처리하거나 모면할 꾀를 세움. 또는 그 꾀.

모책(謀策)[환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처리하거나 모면할 꾀를 세움. 또는 그 꾀.

모첨(茅簷)[속미인곡 6 페이지 / 전적]

초가집 처마. 초가집.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