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모별자(母別子)[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어머니가 아들과 이별함.
모별자자별모(母別子子別母)[한양가라 15 페이지 / 전적]
부모가 자식과 떨어지고, 자식이 부모와 떨어짐.
모본단(模本緞)[타미계라(라미키라) 5 페이지 / 전적]
은실이나 색실로 수를 놓고 겹으로 두껍게 짠 고급 비단의 하나. 양단(洋緞).
모본단(模本緞)[타미계라(라미키라) 5 페이지 / 전적]
은실이나 색실로 수를 놓고 겹으로 두껍게 짠 고급 비단의 하나. 양단(洋緞).
모본왕(慕本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8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5대 왕(?~53). 이름은 해우(解憂)ㆍ해애루(解愛婁)ㆍ막래(莫來). 대무신왕의 아들로, 49년에 중국 한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다.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잘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노(杜魯)에게 피살되었다.
모부인(母夫人)[오륜가라 4 페이지 / 전적]
자당(慈堂),
모사(謀士)[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책사(策士). 꾀를 써서 일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사람.
모사(謀士)[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책사(策士). 꾀를 써서 일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사람.
모사(謀士)[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책사(策士). 꾀를 써서 일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사람.
모사(謀士)[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책사(策士)라고도 하며 꾀를 잘 써서 일이 잘 되도록 하는 사람.
모사(謀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6 페이지 / 전적]
「謀思」― 張橫渠의 東銘에「戱言 出於思也 戱動 作於謀也」라는구절이 있으므로 이를 畧稱하여 「謀思」라 한 것임.
모살(謀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9 페이지 / 전적]
미리 꾀하여 사람을 죽임.
모색(茅塞)[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5 페이지 / 전적]
띠가 무성하여 길이 막혀 있다는 뜻으로, 마음이 물욕에 가리어서 어둡고 답답하다는 비유.
모석상두 고주전(莫惜床頭 沽酒錢)[백발가 9 페이지 / 전적]
해 저문 날 상머리에서 술을 사먹을 돈.
모석투금(暮夕投金)[구쟉가 11 페이지 / 전적]
저물어가는 저녁에 금을 던지다.
모소능장(侮少凌長)[오윤가 27 페이지 / 전적]
이소능장(以少凌長)과 같은 말로 아이를 업신여기고 비웃고 어른을 업신여기는 것.
모소능장(侮少陵長)[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11 페이지 / 전적]
젊은이를 모욕하고 어른을 능멸한 것
모속관[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49 페이지 / 전적]
군량미를 모으는 사람.
모수자천(毛遂自薦)[낙지가 10 페이지 / 전적]
모수가 스스로 자기를 추천함.
모수처럼 자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83 페이지 / 전적]
자기가 자기를 천거함을 말함. 전국 시대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이 초(楚) 나라에 원병을 청할 때 문하에서 문무(文武)를 갖춘 자 20인을 구했는데, 이때 모수(毛遂)가 자기 자신을 천거하였다.《史記 平原君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