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묘리(妙理)[사친가2(思親歌(二)) 2 페이지 / 전적]
오묘한 이치.
묘막(渺漠)하다[운청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광막(廣漠)하다.아득하게 넓음.
묘모(廟謨)[송강집(松江集五)5 11 페이지 / 전적]
조당(朝堂)의 계모
묘목((眇目)[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3 페이지 / 전적]
애꾸눈.
묘목(眇目)[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애꾸눈.
묘목(眇目)[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애꾸눈.
묘묘(妙妙)[계녀사라 6 페이지 / 전적]
젊고 아리따운.
묘묘(渺渺)[ 1 페이지 / ]
수면이 한없이 넓은 모양. 작은 모양. 먼 모양.
묘묘杳杳[ 1 페이지 / ]
깊은 모양, 어두운 모양.
묘문(墓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8 페이지 / 전적]
「玄盧」―幽宅과 같은 말인데 墓를 말함.玄은 幽深의 뜻임.
묘방(卯方)[해몽가라(몽가라) 7 페이지 / 전적]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을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
묘방(卯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동쪽 방향.
묘방(卯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2 페이지 / 전적]
동쪽 방향.
묘방(卯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4 페이지 / 전적]
동쪽 방향.
묘변재(妙辯才)[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절묘하고 뛰어난 말재주.
묘산(卯山)[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7 페이지 / 전적]
동쪽 방향에 있는 산.
묘산(卯山)[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묘방(卯方)에 있는 좌(坐), 즉 묘를 말한다.
묘산(卯山)[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묘방(卯方)에 있는 좌(坐), 즉 묘를 말한다.
묘산(卯山)[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묘방(卯方)에 있는 좌(坐), 즉 묘를 말한다.
묘술(卯戌)[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묘방(卯方)과 술방(戌方). 묘방은 정동방, 술방은 정서방에서 약간 북쪽으로 치우친, 24방위에서 볼 때, 20번째 방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