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묘청(妙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고려 인종 때의 중(?~1135). 도참설로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서경 천도 따위의 개혁 정치와 금국정벌론을 주장하다가 반대에 부딪치자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묘쳠[ 1 페이지 / ]

모첨茅簷. 초가 지붕의 처마.

묘토봉(卯土峯)[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2 페이지 / 전적]

동쪽 방향에 있는 흙산.

묘하(墓下)[옥산가라 30 페이지 / 전적]

조상의 산소가 있는 땅.

묘향산(妙香山)[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평안도에 있는 산으로 높이 1,909m이다. 묘향산맥의 중앙에 솟아 있으며, 우리나라 5대 명산의 하나이다. 연주산, 태백산 등으로도 불렸으며, 산세가 기묘하고 향기를 풍기는 아름다운 산이란 의미에서 11세기초부터 묘향산이라 불렀다.

묘향산(妙香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평안북도 영변군 신현면과 백령면의 경계에 있는 산. 묘향산맥의 주봉으로서, 단군이 내려왔다는 전설로 유명함.

묘호(廟號)[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0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서거한 뒤 종묘에 배향할 때 붙이는 임금의 호號.

묘화 궁전(妙華宮殿)[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묘화로 장식한 화려한 궁전. 묘화(妙華) : 유별나게 신묘한 꽃.

무(無)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무살(無煞)하여. 살(煞)은 사람을 헤치는 독한 기운.

무(無)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무살(無煞)하여. 살(煞)은 사람을 헤치는 독한 기운.

무(無)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무살(無煞)하여. 살(煞)은 사람을 헤치는 독한 기운.

무(無憂)[태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걱정 근심이 없음.

무(無雩)[궁장가(宮墻歌) 6 페이지 / 전적]

무우(舞雩)의 잘못된 표현으로 보이며, 기우제를 지내는 곳을 말한다.

무가(無家)하며 무의(無衣)한들[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집이 없고 옷이 없은들.

무가(無家)하며 무의(無衣)한들[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집이 없고 옷이 없은들.

무가내(無可奈)[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6 페이지 / 전적]

어쩔 수 없다.

무가내(無可奈)[노졍긔 28 페이지 / 전적]

막무가내.

무가내(無可奈)[해몽가라(몽가라) 12 페이지 / 전적]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 ‘막무가내’와 같은 말.

무가내(無可奈)[노졍긔 28 페이지 / 전적]

막무가내.

무가내(無可奈)[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 ‘막무가내’와 같은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