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박대(薄待)[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형편없이 대함.
박대(薄待)[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4 페이지 / 전적]
①불친절(不親切)한 대우(待遇).푸대접②냉담(冷淡)한 대접(待接).
박대(薄待)[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6 페이지 / 전적]
①불친절(不親切)한 대우(待遇).푸대접②냉담(冷淡)한 대접(待接).
박대(薄待)[합강정가(合江亭歌) 8 페이지 / 전적]
①불친절(不親切)한 대우(待遇).푸대접②냉담(冷淡)한 대접(待接).
박대(薄待)[연행별곡(연별곡) 26 페이지 / 전적]
①불친절(不親切)한 대우(待遇).푸대접②냉담(冷淡)한 대접(待接).
박대(薄待)하여[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푸대접함. 정성을 들이지 않고 아무렇게나 대접을 함.
박대균[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74 페이지 / 전적]
연파거사(烟波居士), 박개(朴漑)의 아들로서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형.
박덕(薄德)[남은곡 권지단이라 15 페이지 / 전적]
덕이 적음.
박도(迫到)[자책가(가) 7 페이지 / 전적]
가까이 닥쳐오는 것.
박도(迫到)하여[붕우들아춘회굑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까이 닥쳐와.
박두(迫頭)[쌍옥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기일이나 시기가 가까이 닥쳐옴.
박두(迫頭)[셔유곡 14 페이지 / 전적]
기일이나 시기가 가까이 닥쳐옴.
박랑사(博浪沙)[자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하남성 무양현에 있는 고적으로 장량(張良)이 역사(力士)에게 시황제(始皇帝)를 습격하게 한 곳으로 유명함.
박랑사(博浪沙)[춘몽가(츈몽가) 2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전한(前漢) 창업(創業)의 공신(功臣).한(韓)의 세족(世族).자는 자방(子房).유 방(劉邦)의 모신(謀臣)으로 공을 세우고 우휴(留侯)에 책봉(冊封)됨.소하(蕭何)ㆍ한신(韓信)과 함께 한(漢)나라 창업(創業)의 삼걸(三榤)이라 이름.
박랑사(博浪沙)[자치가 15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남성 무양현에 있는 고적으로 장량(張良)이 역사(力士)에게 시황제(始皇帝)를 습격하게 한 곳으로 유명함.
박랑사(博浪沙)[낙수가 8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 무양성의 남쪽에 있는 지명으로, 장량(張良)이 역사(力士)들로 하여금 철퇴로 진나라 시황제를 저격하게 한 곳으로 유명함.
박랑사(博浪沙)[녁대가(녁가) 40 페이지 / 전적]
중국 허난 성(河南省) 우양현(武陽縣)의 고적. 진(秦)나라 무양 성의 남쪽에 있는데, 장량(張良)이 역사(力士)들로 하여금 철퇴로 진나라 시황제를 저격하게 한 곳으로 유명함.
박랑사(博浪沙)[춘몽가(츈몽가) 2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하남성(河南省) 무양현(武陽縣)의 고적(古蹟).진(秦)나라의 무양성(武陽城)의 남쪽에 있으며 장양(張良)이 역사(力士)를 시켜 진시황(秦始皇)을 죽이려던 곳으로 유명(有名)함.
박랑사중(博浪沙)[소상팔경가 14 페이지 / 전적]
중국에 있는 땅이름으로 장량(張良)이 역사(力士)로 하여금 진시황을 죽이고자 저격하던 곳으로 진시황은 맞지 않고 그 다음 수레를 맞히어 실패하였음.
박랑사중(博浪沙中)[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