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받들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4 페이지 / 전적]

「反哺」- 親恩을 갚는다는 말임. 本草에「慈烏는 孝鳥이다. 初生時에는 어미가 먹여주다가 장성하면 反哺한다」라 하였음. 여기는 후사가 없음을 말한 것임.

받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9 페이지 / 전적]

「黃驪」-列子 說符에 『泰穆公이 九方皐로 하여금 馬를 求해 오라 하여, 석 달만에 돌아오자 穆公 은 「무슨 馬를 구했는가」물으니 「牝이요 黃色입니다」하므로 사람을 시켜 取해 오고보니 牡요 驪色이었다。穆公이 달갑게 여기지 아니하니 佰樂은 喟然太息하며 말하기를 「九方皐의 所觀은 天機이니 그 精을 얻고 麤는 잊었으며 그 內에 있고 그 外는 잊은 것이다」라 했는데 그 말이 과연 天下의 良馬였다』라 하였음。

받은 체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2 페이지 / 전적]

軆受歸全」―父母의 遺軆를 받았으니 그 軆를 이즈러지게 해서는 안된다는 뜻임。禮 祭義에 『天之所生 地之所生 無人爲大父母全而之生之 子全而歸之 可爲孝矣 不虧其軆 不辱其身 可謂全矣』라 하였음。

발강퉁이[나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벌거숭이

발고(發告)[구쟉가 7 페이지 / 전적]

가해자나 피해자가 아닌 제삼자가 어떤 범죄 사실을 신고함.

발과내어[황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펴게 하여.

발광(發光)[형졔분슈가 9 페이지 / 전적]

빛을 냄.

발광(發狂)[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몰두하거나 어떤 행동을 격하게 함을 낮잡아 이르는 말.

발굴러 포악소리[복션화음록 21 페이지 / 전적]

발을 구르며 포악(暴惡)하는 소리.

발기(發起)[신힁가라 1 페이지 / 전적]

앞장서서 새로운 일을 꾸며 일으킴. 또는 새로운 일이 일으켜짐.

발끈발끈[김씨효행가 41 페이지 / 두루마리]

사소한 일에 걸핏하면 왈칵 자꾸 성을 내는 모양.

발나보쟈[셕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발라보자. 안을 헤치고 속의 것을 찾아낸다는 뜻의 ‘발라내다’에서 온 말이다.

발노(發怒)[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화를 냄.

발동(發動)[축원하온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수선스럽게 움직이로 떠듦.

발라사(鉢羅砂)[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5 페이지 / 전적]

바라(절에서 쓰는 밥그릇)모양의 바위.

발론(發論)[셔유곡 11 페이지 / 전적]

제안(提案) 또는 의논거리 따위를 말하여 드러냄.

발론(發論)[자소가(소가) 7 페이지 / 전적]

의논을 꺼냄.

발명[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발명(發明). 죄나 잘못 따위가 없음을 밝힘.

발명(發明)[권왕가 29 페이지 / 전적]

죄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하여 밝히는 것.

발명(發明)[명륜가(明倫歌) 36 페이지 / 전적]

죄나 잘못이 없음을 말하여 밝힘. 또는 그리하여 발뺌하려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