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반역(叛逆)[한양가라 35 페이지 / 전적]
나라와 겨레를 배반함.
반연攀緣[ 1 페이지 / ]
올라타다. 잡고 오르다.
반염(攀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0 페이지 / 전적]
「攀髥」― 史記封禪書에 「黃帝가 首山의 銅을 캐서 荊山下에 鑄鼎하여 鼎이 完成되자 龍이 턱수염을 드리우고 내려와 黃帝를 맞으니 黃帝는 올라타고 羣臣 後宮들이 上을 따른 자가 七十여명이었다. 龍은 드디어 上去하니 남은 小臣들은 올라가지 못하고 모두 용의 수염을 攀持하자 龍의 수염은 뽑혀 떨어지고 黃帝의 활도 떨어졌다. 백성들어 울어러보니 黃帝는 벌써 하늘로 올라갔으므로 그 활과 龍수염을 안고서 통곡하였다」라 했음.
반우[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7 페이지 / 전적]
소를 먹임. 춘추 시대 제나라 사람 영척 (甯戚)이 불우하여 소를 먹이었다. 제 환공 (齊桓公)이 나옴을 알고 영척이 소 뿔을 두드리며 노래하기를 ‘요순을 만나지 못해 무명옷 입고 소를 먹이니 긴긴 밤 언제나 밝아지나‘하니, 환공이 듣고 대화한 후 대부를 삼았다.《蒙求中》
반우(反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23 페이지 / 전적]
한가지를 보면 나머지는 미루어 알수 있다는 뜻임. 論語 述而에 「擧 一隅不以三隅反 則不復也」라는 대문이 있음.
반우(飯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9 페이지 / 전적]
「飯牛」― 食牛와 같은 말임. 莊子田子方篇에 「百里奚 爵祿不入於心 飯牛而牛肥」라 하였음.
반월대라[화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달구경할 수 있는 경치 좋은 조망대
반월성(半月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5 페이지 / 전적]
「半月城」― 慶州 東南 五里에 있음. 新羅 婆娑王 二十二年에 쌓았는데 그 형상이 半月과 같아서 이름이 된것이다. 土築으로 周圍는 三千二十三尺임. 高麗李仁老詩에 「孤城微彎象半月荊棘半掩鼪鼯穴」이라 했음.
반월성(半月城)[형제이회가(형이회가) 8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시 인왕동(仁旺洞)에 있는 101년(파사왕 22)에 축조한 신라 때의 성. 사적 제16호. 재성(在城)이라고도 함.
반월성(半月城)[타미계라(라미키라) 1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시 인왕동(仁旺洞)에 있는 101년(파사왕 22)에 축조한 신라 때의 성. 사적 제16호. 재성(在城)이라고도 함.
반월성(半月城)[형제이회가(형이회가) 8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시 인왕동(仁旺洞)에 있는 101년(파사왕 22)에 축조한 신라 때의 성. 사적 제16호. 재성(在城)이라고도 함.
반월성(半月城)[타미계라(라미키라) 1 페이지 / 전적]
경북 경주시 인왕동(仁旺洞)에 있는 101년(파사왕 22)에 축조한 신라 때의 성. 사적 제16호. 재성(在城)이라고도 함.
반월쳬를[셕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반월체(半月體)를. 반월모양을.
반월형(半月形)[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달 반 조각의 형상.
반위攀危[ 1 페이지 / ]
반등위경攀登危徑의 준말. 위험한 좁은 길을 더위잡고 오름.
반유(盤遊)[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즐겁게 놂. 각지를 떠돌며 노님.
반유(盤遊)[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즐겁게 놂. 각지를 떠돌며 노님.
반유현어(反有賢扵)[경화가(警和歌) 12 페이지 / 전적]
도리어 어짐이 있음.
반유현어(反有賢扵)[경화가(警和歌) 12 페이지 / 전적]
도리어 어짐이 있음.
반을가치[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바늘같이. 바늘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