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반포지효(反哺之孝)[초한가라 7 페이지 / 전적]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
반포효성(反哺孝誠)[대동가(동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식이 커서 마음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정성.
반한등이욕면(伴寒燈而欲眠)하니 야초초이갱심(夜超超而更深)이라[사친가1(思親歌(一)) 11 페이지 / 전적]
한등을 짝하여 잠들고자 하니 밤은 한없이 더욱 깊어만 가네. 한등(寒燈) : 추운 밤에 비치는 등불. 쓸쓸히 비치는 등불. 초초(超超) : 탁월한 모양.
반행(伴行)[초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동행(同行).
반행(伴行)[초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동행(同行).
반행(伴行)으로 치행(治行)하여[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함께 동반하는 것으로 행장을 차리어
반호(攀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6 페이지 / 전적]
「攀號」-攀授하며 思慕한다는 뜻임。
반호벽용(攀號?踊)[명륜가(明倫歌) 28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죽음을 애통해 하여 땅을 치고 울부짖으며 가슴을 치고 펄펄 뜀.
반호벽용(礬號擗踊)[형제이회가(형이회가) 7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죽음을 애통해하여 땅을 치고 울부짖으며 가슴을 치고 펄펄 뜀.
반호벽용(礬號擗踊)[형제이회가(형이회가) 7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죽음을 애통해하여 땅을 치고 울부짖으며 가슴을 치고 펄펄 뜀.
반혼(返魂)[송강집(松江集三)3 114 페이지 / 전적]
산(山)에서 혼백을 모시고 집으로 돌아옴.
반혼(返魂)[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을 화장하고 그 혼을 집으로 도로 불러들임.
반혼(返魂)[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3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을 화장하고 그 혼을 집으로 도로 불러들임.
반혼(返魂)[쟝한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장사를 지낸 뒤에 신주(神主)를 집으로 모셔 오는 일.
반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8 페이지 / 전적]
반가워할.
반환(盤桓)[초당춘수곡 8 페이지 / 전적]
망설임 또는 즐김.
반환盤桓[ 1 페이지 / ]
서성거림. 머뭇거리며 멀리 떠나지 못하는 모양.
반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0 페이지 / 전적]
「班姬扇」―漢成의 宮人 班倢仔는 賢才通辯하여 詩歌를 잘하므로 크게 龐愛를 받았는데, 뒤에 趙飛燕이 得龐하자 참소를 입고 물러나, 太后를 長信宮에서 모시면서 紈扇에 託意하여 怨歌行을 지었음. 그 歌詞내용인즉 그가 得龐할 때는 더운철에 부채와 같이 임금의 懷袖속에 들고나곤 하였는데 一旦에 사랑이 쇠해지니, 마치 가을 바람이 불어와 그 부채를 篋笥속에 버려 던지는 것과 같다는 뜻이었음.
반희(班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6 페이지 / 전적]
「班姬」―漢成帝의 宮人 班倢伃를 말함. 賢才通辯으로 본래 詩歌에 能하여 크게 寵幸를 받다가 뒤에 趙飛燕에게 참소를입고물러나 長信宮에서 太后를 모시며 賦를지어 自傷하였는데 詞가 극히 哀楚하였음.
반[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반상(飯床).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