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반포(反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7 페이지 / 전적]

ㅊㅊㅊ

반포(反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새끼가 그 어미를 먹인다는 말임. 本草에 「小而純黑小嘴反哺者 慈鳥也」라 하였음. 後人이 引用하여 親恩에 報答하는 말로 稱함.

반포(反哺)[명륜가(明倫歌) 21 페이지 / 전적]

‘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준다’는 뜻으로, ‘부모 의 은혜를 갚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반포(反哺)[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준다는 뜻으로,

반포(反哺)[조심가라 22 페이지 / 전적]

①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 ②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반포(反哺)[조심가라 22 페이지 / 전적]

①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 ②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반포(反哺)[시절가 25 페이지 / 전적]

안갚음(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인 반포지효(反哺之孝).

반포(反哺)[삼팔가(三八歌) 11 페이지 / 전적]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주는 일.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반포(反哺)[별한가 28 페이지 / 전적]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까마귀는 장성하면 자신을 키워 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기 때문에 반포조(反哺鳥)하고 함.

반포(頒布)[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널리 펴서 알리는 것.

반포(頒布)[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널리 펴서 알리는 것.

반포(頒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7 페이지 / 전적]

세상에 널리 펴서 퍼트림.

반포보민(反哺報閔)[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반포지효(反哺之孝)와 같은 말로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

반포보민(反哺報閔)[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반포지효(反哺之孝)와 같은 말로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

반포성(反哺性)[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반포지효(反哺之孝)하는 성질.

반포성(反哺性)[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반포지효(反哺之孝)하는 성질.

반포지은(反哺之恩)[춘화추동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어미에게 먹이를 가져다 주는 까마귀의 효성.

반포지정(反哺)[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반포(反哺)는 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줌.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함.

반포지정(反哺)[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반포(反哺)는 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줌.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함.

반포지정(反哺之情)[봉별가 46 페이지 / 전적]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정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